컨텐츠 바로가기

02.19 (수)

LG 왕좌 복귀 중요 퍼즐은 술, 클럽을 좋아하지 않아… 팀과 자신 모두 터닝포인트 만들까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티비뉴스=김태우 기자] 2023년 통합 우승 팀이었지만 2024년 플레이오프에서 아쉽게 고배를 마신 LG는 지난해 중반부터 외국인 투수진에 변화를 주고 있다. 오랜 기간 LG 유니폼을 입고 뛰면서 항상 그 자리에 있었던 케이시 켈리를 고심 끝에 포기했고, 시즌 뒤에는 지난해 13승을 거둔 좌완 디트릭 엔스와도 재계약하지 않기로 했다.

켈리 대신 데리고 왔던 엘리에이저 에르난데스와 재계약하기는 했지만, 그래도 엔스를 포기하는 건 쉽지 않은 일이기는 했다. 엔스는 지난해 30경기에 성실히 나가 167⅔이닝이라는 적지 않은 이닝을 소화했다. 13승6패를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평균자책점은 4.19였다. 퀄리티스타트(선발 6이닝 이상 3자책점 이하)도 13번으로 많은 편은 아니었다. 건강하게 던지기는 했는데, 재계약까지는 뭔가 부족한 느낌이 있었던 것이다.

LG 나름대로는 확실한 대안이 있었기에 과감하게 엔스를 포기할 수 있었다. LG는 엔스의 대체자로 메이저리그 경력이 나름대로 화려한 요니 치리노스(32)를 데려와 에르난데스와 짝을 맞췄다. 베네수엘라 출신의 치리노스는 2018년 탬파베이에서 메이저리그에 데뷔해 지난해까지 메이저리그 통산 20승을 거둔 경력이 있는 선수다. 전체적인 이름값이나 기량, 최근 흐름 모두 엔스보다 낫다는 평가를 받는다. 계약금 20만 달러, 연봉 80만 달러로 신규 외국인 선수에게 줄 수 있는 상한선 100만 달러를 꽉 채워 보장했다. 기대감을 읽을 수 있다.

치리노스는 오랜 기간 선발로 육성된 선수이며, 2018년과 2019년에도 탬파베이 소속으로 선발로 뛰는 경우가 많았다. 2019년에는 18경기에 선발로 나가(총 26경기 출전) 133⅓이닝을 던지기도 했다. 2018년 5승, 2019년에는 9승을 거뒀다. 이후 애틀랜타와 마이애미를 거쳤다. 지난해 마이애미에서는 6경기에 모두 선발로 나가 30이닝을 소화했다. 다만 평균자책점 6.30을 기록하며 하락세를 드러냈고, 올 시즌을 앞두고는 LG와 계약해 한국에서 재기에 나선다.

치리노스는 한국행을 수락한 배경에 대해 “아직 한국에 대해 들은 것은 많이 없는데 에이전트를 통해 LG트윈스가 나에 대해 관심 있다는 말을 들었을 때부터 한국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제안이나 조건이 만족스러웠기 때문에 팀에 기쁘게 합류할 수 있었다”고 LG의 꾸준한 관심이 한국행을 선택한 배경이라고 이야기했다. 이어 치리노스는 “한국이 많이 발전된 나라인 것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고 그래서 차차 알아갈 것들이 많을 것 같다. 그리고 LG트윈스에 합류하게 된 것이 13년 나의 야구 인생에 있어서 터닝포인트가 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면서 경력의 전환점을 바랐다.

치리노스는 자신에 대한 궁금증을 차분하게 정의해 나갔다. 치리노스는 “경기장 안에서는 항상 상대를 존중하고 경기에 있어서 상대방에게 항상 젠틀하고 프로페셔널한 모습을 유지하려 한다. 또한 경기 중에는 개인적인 기분을 표출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왜냐하면 그런 기분을 표출하게 되면 나 자신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이 올 것이고 나아가서 팀원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스스로 억제하며 경기에 임하는 성격이다. 팀생활에 있어서도 지각 같은 것을 하지 않는 기본 애티튜드를 지키려 노력하는 성격이다”면서 “경기장 밖에서도 최대한 프로페셔널한 모습을 유지하려 한다. 많은 시간을 해외에서 생활을 하면서 어찌 보면 한나라를 대표해서 나와 있는 사람일수도 있기 때문에 항상 존중과 바르게 살고자 하는 생각을 항상 머리에 가지고 생활하고 있다. 술·클럽 등을 좋아하지 않아서 평소에도 좀 차분한 성격”이라고 자신을 소개했다.

치리노스는 2020년까지는 메이저리그에서 잘 나가다 2021년과 2022년에는 슬럼프를 겪었던 시기도 있었다. 경력이 꺾인 시점이었다. 치리노스는 이에 대해 “그 힘든 시기에 딸이 태어났는데 딸이 많은 힘이 됐었다. 그 시기를 계기로 삼아서 나 자신을 끝까지 믿고 포기하지 않으려 노력했던 부분이 컸었고 훈련과 운동하는 자체를 많이 좋아해서 운동하면서 그 시기를 극복했다”고 소개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제 한국에서 반등을 노리는 치리노스는 몸 상태를 최대한 좋게 유지하면서 KBO리그 타자들의 성향을 읽으려고 노력 중이다. 치리노스는 “지금까지 가져온 다양한 구종(싱커, 스플리터, 슬라이더 등)을 동일하게 가져갈 계획을 하고 있고, 그 중 가장 좋은 구종을 선택하면서 한국 타자들을 상대하려고 한다”면서 “항상 어느 한쪽에 치우쳐진 볼 배합이 아니라 포수와의 케미스트리를 생각하고 그 안에서 나오는 볼 배합을 통해서 투구를 해왔다. 연습할 때, 불펜에서나 경기 중에서도 많은 소통이 필요할 듯하다”고 과제를 짚었다.

치리노스는 평균 92~93마일(148~150㎞) 수준의 패스트볼, 그리고 슬라이더와 스플리터를 구사하는 스타일이다. 패스트볼도 포심만이 아닌 싱커도 같이 던진다. 스플리터도 많은 헛스윙을 유도해 낸 구종이었다. 한국에서 스플리터를 던질 수 있다는 것은 제법 큰 프리미엄이 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꾸준하게 선발로 던져왔던 선수이기 때문에 따로 특별한 빌드업이 필요하지 않다. LG가 치리노스를 오랜 기간 관찰하고 머뭇거림 없이 제안한 것은 다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다.

치리노스는 “오프시즌에는 웨이트에 집중을 하면서 준비 잘 해왔고 LG트윈스에 기회가 왔을 때 기회를 살려서 팀이 마지막 목표인 우승을 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한다”면서 “항상 시즌을 시작할 때 최소 10승 이상을 목표 수치로 잡고 있다. 개인적으로 두 자릿수 승수를 하고 싶은 바람이 있고 내가 그렇게 한다면 팀으로도 도움이 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좋은 모습으로 시즌을 마무리해서 내년에도 LG트윈스와 계속 같이 잔류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또한 기록 부문의 수상에 대해서는 아직 크게 생각한 바는 없지만 만약 영광스러운 수상을 받을 수 있다면 KBO에서도 올해의 투수상을 받을 수 있는 활약을 했으면 좋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치리노스가 경력의 터닝포인트를 만들면서 LG의 왕좌 복귀에 공헌할 수 있다면 서로에게 만족스러운 2025년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