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프로축구 K리그

[K리그1 MD] "상식 밖 행동 대신 생각으로"...드디어 나는 개막 분위기, 1R 앞둔 포부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터풋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터풋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터풋볼=신동훈 기자(소공로)] 이제야 개막 분위기가 난다. 개막 미디어데이에서 각 감독들의 포부가 눈길을 끌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26일 오전 11시 서울 소공로에 위치한 더 플라자 호텔에서 하나은행 K리그1 2024 미디어데이를 개최했다. 올해 미디어데이는 사전 이벤트를 통해 선정된 팬 200여 명이 함께해 의미를 더했다.

대표팀 이슈가 축구계를 덮으면서 K리그 개막 분위기가 많이 나지 않았다. 개막을 앞둔 상황에서 열린 개막 미디어데이에는 분위기를 끌어올릴 기회다. 마침 개막전을 앞두고 양 팀 감독들이 서로에게 도발하는 시간이 있었다. K리그1은 3월 1일날 개막을 하며 울산HD와 포항 스틸러스의 동해안더비를 시작으로 대구FC와 김천 상무의 대결까지 치러진다.

가장 먼저 동해안 더비를 앞둔 두 수장의 포부가 있었다. 홍명보 감독은 "부담스러운 질문이다. 동해안 더비는 역사가 있는 더비다. 박태하 감독이 이야기를 하더니 잔디가 안 좋다고 했다. '지금 잔디 걱정을 해?'라고 했다. 좋은 자질을 가진 감독이 포항에 갔다. 거기까지만 하겠다"고 말했다.

박태하 감독은 "아시다시피 홍명보 감독과 오랜 시간을 같이 했다. 기억을 할지 모르겠지만 홍 감독과 포항에 있을 때 차 번호를 아직 기억한다. 홍 감독에게 "자리는 영원하지 않다. '조심해라"라고 말하고 싶다"고 이야기 했다.

전북 현대의 단 페트레스쿠 감독은 난감해 하며 "이런 질문이 처음이다. 그저 경기장을 팬들을 행복하게 해주고 싶다"고 도발을 피했다. 이민성 감독도 마찬가지로 "굳이 질문에 현혹될 필요는 없을 것 같다..전북전에 원정 팬들이 3,000명 정도 예약을 하셨다. 즐거움을 주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가장 관심을 모으는 건 광주FC와 FC서울 대결이다. 광주의 이정효 감독은 "먼저 들어보고 말하겠다"고 했다. 김기동 감독은 "포항에 있을 때, 신경을 많이 썼다. 첫 단추를 잘 껴야 한다. 그날 경기 흐름은 이정효 감독 의도대로 되지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정효 감독은 "상식 밖의 행동은 하지 않겠다. 상식 밖의 생각을 하며 많은 팬들 앞에서 잘 만들어 보겠다"고 강렬한 포부를 전했다.

조성환 감독은 수원FC에 "전력 노출 방지를 이유로 친선 경기 영상을 촬영하지 않았더라. 김은중 감독은 감독으로서 인천 홈 구장을 왔을 때 팬들의 분위기와 열정에 주눅이 들 것이다. 잘 준비해라"고 했다.

인터풋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은중 감독은 "오해를 하고 계신다. 청주가 요청해 영상 촬영을 안 했다. 인천 경기를 많이 봤으니 조 감독님 스타일을 잘 안다. 공개가 되어 있다. 우리 팀은 가려져 있으니 개막전 당일날 놀랄 일이 일어날 거라고 생각한다"고 이야기했다.

윤정환 감독은 개막전 적장 김학범 감독과 제자, 스승 관계다. 윤정환 감독은 "사실 감히 스승님을 비판할 수 없다. 먼 섬에서 오시니, 감독님 고향이 강릉이라고 알고 있다. 고향에서 조용히 잘 지내시다가 가기를 원한다"고 조용한 도발을 단행했다.

인터풋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과거 윤정환 감독의 제자이자 강원을 맡기도 했던 김학범 감독은 "강원이 아픔을 겪고 올라왔기에 하나로 결집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운동장에서 준비한 거를 공개하겠다"고 말헀다.

마지막으로 대구의 최원권 감독은 "내 스승님이라 말하기 어렵다. 한 마디만 하자면 '어서오세요, 대팍은 처음이죠?'"고 하면서 정정용 감독에게 인사를 건넸다. 정정용 감독은 "최 감독과 사전에 봤을 때 "대구에 지고 남은 팀에 다 이겨라"라고 하더라. 덕담이 아니라고 느꼈다"고 긴장을 하겠다고 했다.

Copyright ⓒ 인터풋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