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적극적인 투자와 박정은 감독의 농익은 리더십으로 한층 성숙해진 부산 BNK가 창단 6번째 시즌에 마침내 여자프로농구 왕좌에 올랐습니다.
BNK는 오늘(20일) 부산 사직체육관에서 열린 아산 우리은행과의 하나은행 2024-2025 여자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5전 3 승제) 3차전 홈경기에서 55대 54로 이겼습니다.
아산에서 열린 16일 1차전, 18일 2차전에 이어 안방에서 치른 3차전까지 연이어 잡은 BNK는 2019년 창단 이후 처음으로 여자프로농구 챔피언에 등극했습니다.
BNK는 여자프로농구계에 변화의 바람을 일으켜온 팀입니다.
하지만 그동안은 성적에선 아쉬움을 남겨왔습니다.
박정은 감독 부임 이후 2021-2022 시즌 4위(12승 18패)로 올라서 창단 첫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2022-2023 시즌엔 정규리그에서 2위(17승 13패)에 오른 뒤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해 준우승했으나 2023-2024 시즌 다시 최하위(6승 24패)로 추락했습니다.
드리블하는 박혜진 (사진=한국여자농구연맹 제공, 연합뉴스) |
베테랑 김한별이 은퇴하고 핵심 센터였던 진안이 부천 하나은행으로 이적했지만, 우리은행의 주축이던 박혜진과 인천 신한은행의 에이스 김소니아를 영입하며 상위권 전력을 구축했습니다.
안혜지, 이소희가 건재한 가운데 김소니아, 박혜진과 아시아 쿼터 선수로 합류한 이이지마 사키까지 확고한 베스트 5가 갖춰지며 개막 전부터 우승 후보로 꼽혔습니다.
챔프전 최우수선수(MVP)만 3차례나 받은 박혜진과 리그 득점왕(2022-2023 시즌) 출신 김소니아가 구심점 역할을 하며 약점으로 지적돼 온 '경험 부족'을 확실히 보완한 BNK는 시즌 초반부터 상위권으로 치고 나갔습니다.
2022-2023 시즌 우리은행과의 챔프전에서 한 경기도 따내지 못한 채 3연패로 무기력하게 물러났던 BNK는 이번엔 우리은행을 상대로 3연승을 달리며 완벽한 우승을 일궜습니다.
박정은 감독과 안혜지 (사진=한국여자농구연맹 제공,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과 2002년 세계선수권대회 4강 멤버로 대표팀과 현역 시절 삼성생명에서 맹활약하며 '명품 포워드'라는 별명으로 큰 사랑을 받은 스타 플레이어 출신입니다.
선수 때 등번호 11번이 삼성생명의 영구 결번으로도 지정됐을 정도입니다.
2013년 선수 은퇴 후 2016년까지 삼성생명 코치를 맡은 박 감독은 2018년부터 한국여자농구연맹(WKBL) 경기운영부장, 본부장을 지냈고, 2021년 3월 BNK 사령탑에 올랐습니다.
부산 동주여고 출신으로 고향 팀을 맡아 프로 사령탑으로 데뷔한 박 감독은 1997년 출범한 여자프로농구에서 여성 사령탑 최초로 팀을 플레이오프, 챔프전에 올려놓은 데 이어 이번 시즌엔 여성 감독 첫 챔프전 승리와 우승을 차례로 달성했습니다.
국내 여자프로농구에서 선수와 감독으로 모두 챔프전 우승을 차지한 것도 당연히 박 감독이 최초입니다.
위기 상황에서도 좀처럼 흥분하는 모습을 보기 어려운 박 감독은 차분하고 세심한 '언니 리더십'으로 팀을 정상으로 이끌며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사진=한국여자농구연맹 제공, 연합뉴스)
전영민 기자 ymin@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