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엑스포츠뉴스 김현기 기자) 손흥민이 토트넘 홋스퍼를 탈출하기로 마음 먹었다는 소식이다.
10년간 클럽에 충성하며 구단 가치를 크게 올려놓은 자신에게 구단이 재계약과 관련한 별다른 액션을 취하지 않으면서 결국 떠나기로 결심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미 구단 내에선 손흥민이 떠나기로 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고도 했다.
토트넘 관련 소식을 다루는 매체 '투 더 레인 백'이 27일(한국시간) 이 같이 주장했다.
매체는 "토트넘 홋스퍼의 와이드 포워드(만능 공격수) 손흥민이 '화이트 하트 레인(토트넘 옛 구장 이름이자 토트넘 구단 별칭)'을 떠날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다"며 "홋스퍼 웨이(토트넘 훈련장)에서 한국 선수의 계약 상황에 진전이 없고, 대신 유럽과 중동의 여러 팀이 자유계약 형태로 그를 영입하려고 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전 바이엘 레버쿠젠 윙어(손흥민)의 토트넘 계약은 2024-2025시즌 끝날 때 만료된다"며 "토트넘은 손흥민이 30대 후반까지 'N17(토트넘 구단 주소)'에 머물기를 원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당사자 간의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손흥민은 장기적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속에서 불만을 품다"고 설명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들어 영국 혹은 토트넘 매체들이 제기하고 있는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다. 계약 만료 6개월 전까지 토트넘이 새 계약 관련해 지지부진한 움직임을 보이자 손흥민이 내년 여름 새로운 팀으로 이적료 없이 가는 방법을 택할 수 있다는 보도가 조금씩 나오고 있는데 매체도 그런 관측에 힘을 실었다.
토트넘은 손흥민 재계약에 응할 생각이 없다.
앞서 프리미어리그 사정에 정통한 것으로 알려진 글로벌 스포츠 매체 '디 애슬레틱'은 26일 "토트넘은 손흥민과 맺고 있는 현재 계약을 1년 늘릴 것이다"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매체는 이어 "토트넘이 손흥민, 그리고 손흥민보다 1년 먼저 토트넘에 입단한 '절친' 벤 데이비스의 계약 연장 옵션을 활성화, 두 선수들을 1년 더 팀에 묶어둘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손흥민의 기존 계약은 2025년 6월에 끝나지만, 토트넘이 연장 옵션을 발동시키면 2026년 6월까지 토트넘에 머물러야 한다. 손흥민은 지난 2021년 토트넘과 4년 계약을 체결했다. 처음엔 옵션의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으나 지난 4월 언론에 공개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적시장 전문가 파브리치오 로마노도 최근 영국 매체 '기브미 스포츠'를 통해 손흥민의 계약이 다년 재계약보다는 현 계약 1년 연장 쪽으로 쏠려 있다고 주장했다.
로마노는 "토트넘이 연장 옵션을 활성화해 손흥민을 2026년 6월까지 클럽에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10월 이후 클럽 내부 분위기가 그렇다. 공식적인 절차가 남아 있긴 하다"며 토트넘이 단지 다른 이유로 손흥민 계약에 대한 콜옵션 활성화 발표만 미루고 있다고 확신했다.
토트넘과 손흥민이 이미 1년 연장 옵션에 사인했음에도 다른 이유로 발표를 미루는 것이란 얘기까지 나왔다.
다른 견해도 있다. 손흥민의 계약기간 1년 연장은 내년 여름 그가 자유계약(FA) 신분을 취득해 다른 구단과 자유로운 입단 협상을 통해 이적료 없이 가는 것을 막기위해서라는 관측이다.
영국 유력지 더 타임스는 "손흥민의 득점 감각이 급감했으며 윙어의 경우 만 34세 이후에 같은 기량을 유지하기 쉽지 않다"면서 손흥민의 계약 1년 연장은 매각을 위한 사전 작업이라고 해석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다만 옵션이 토트넘의 일방적인 행사로 가능한 것인가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하다. 기량이 떨어진 베테랑 선수에 대해 구단이 일종의 선물 형식으로 주는 것이 1년 옵션 행사인데, 아직 실력이 급락하지 않고 패스플레이 등에선 오히려 발전하고 있는 손흥민을 1년만 더 묶어두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는 분석이다.
특히 손흥민은 지난 2015년 400억원이라는 싼 이적료로 토트넘에 온 뒤 구단에서 해리 케인 다음 가는 스타플레이어로 올라섰고, 한국을 넘어 아시아 마케팅에 엄청난 효과를 불러왔기 때문에 그에게 단순히 현 계약을 1년 연장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일각에선 손흥민이 구단의 옵션 행사에 반대하면 계약은 내년에 자동적으로 끝나고, 손흥민이 자유계약 신분이 된다고도 분석한다.
이번 '투 더 레인 백'의 보도는 손흥민이 내년 6월 이후 거취 결정을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지난 2015년 독일 레버쿠젠에서 400억원 이적료로 토트넘에 둥지를 튼 손흥민은 해가 갈수록 활약이 증가하면서 두 차례 재계약을 했다.
손흥민은 지난 2021년 여름 토트넘과 2025년 6월까지 유효한 새 계약을 맺었다. 그런데 이 계약엔 계약기간을 2026년 6월까지 1년 연장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된 것으로 올 상반기에 알려졌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손흥민 계약으로 유럽 축구가 계속 뜨거운 가운데 일각에선 토트넘이 왜 이 문제를 일찌감치 해결하지 않는지에 대한 지적까지 나온다.
토트넘 전 스카우트 브라이언 킹이 25일 이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그는 '토트넘 홋스퍼 뉴스'를 통해 "손흥민 계약 문제는 3~4개월 전에 해결했어야 했다"며 "손흥민은 토트넘에 자신의 커리어를 바친 훌륭한 선수다"라고 구단에 쓴소리를 남기기도 했다.
킹은 이어 "최근 손흥민 플레이를 보면, 마음이 토트넘에 100% 있는지 의문"이라며 "내가 그 사람이었다면 분명 억울할 것이다. 손흥민이 지금 행복한지 잘 모르겠다"고 손흥민의 심정을 대변했다.
어쨌든 토트넘이 옵션 행사를 공식 발표하지 않다보니 유럽 빅클럽이 그에게 구애하는 상황이다. 몇몇 구단은 손흥민이 토트넘의 옵션 행사에 동의하지 않고 내년 여름 구단을 빠져나올 수 있다는 판단 아래 그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특히 스페인 명문 구단들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FC바르셀로나가 손흥민에 관심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팀은 이번 시즌 라리가 전반기 1위와 2위를 나눠가졌다.
전반기를 선두로 마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프랑스 국가대표 공격수 앙투안 그리즈만을 미국으로 보내고 그 빈자리에 손흥민을 쓰겠다는 생각이다.
바르셀로나는 레프트 윙에 브라질 국가대표 하피냐가 있어 손훙민의 경우 입단하면 준주전급이 될 전망이다. 24일 스페인 '엘 나시오날'은 바르셀로나가 뮌헨과의 재계약을 미루고 있는 미드필더 요수아 키미히와 함께 손흥민을 데려올 태세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두 구단의 계획은 손흥민이 FA 신분을 취득할 때만 가능하다. 손흥민이 이적료를 달고 시장에 나온다면 두 구단도 심사숙고할 수밖에 없다.
손흥민 입장에선, 토트넘을 떠나야 한다면 하루라도 젊은 내년 여름에 축구인생 마지막 도전을 위해 떠나는 것이 좋다. 이적료가 붙게 된다면 빅클럽들의 관심이 급감할 전망이다. 손흥민의 매력도는 어린 선수들처럼 1000억원 이상의 큰 이적료를 지불하지 않으면서 180억원 정도의 합리적인 연봉으로 2년 정도 그의 정상급 플레이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있기 때문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두 구단 외엔 독일 바이에른 뮌헨, 프랑스 파리 생제르맹, 튀르키예 갈라타사라이도 손흥민 영입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FA로 시장에 나오면 여러 구단이 손짓할 것이 확실시된다. 최소 로테이션 멤버로 손색이 없고, 유니폼 판매 등 마케팅 측면에서도 탁월하다.
아울러 스트라이커와 레프트윙은 물론 공격형 미드필더와 오른쪽 공격수까지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다, 전천후 공격수라는 것도 장점이다.
독일 이적시장 매체 트란스퍼마르크트에 따르면 손흥민의 12월 현재 시장가치는 577억원 정도다. 토트넘이 손흥민의 공헌도와 마케팅 기여도 등을 인정해 다른 곳에 보내더라도 100억원 정도의 싼 몸값을 매기면 다행이지만 지금까지의 토트넘 행태를 보면 레버쿠젠에 지불했던 400억원 정도를 원할 것이라는 게 영국 현지의 관측이다.
그렇기 때문에 토트넘은 기를 쓰고 손흥민이 내년 여름 FA가 되는 것을 막으려고 할 것으로 보인다. 손흥민은 토트넘에 디년 재계약과 함께 제대로 된 레전드 대우를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발롱도르 / 연합뉴스 / 엑스포츠뉴스DB
김현기 기자 spitfire@xportsnews.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