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역시 투헬이 문제! 김민재 방치+사용법도 몰랐다... 콤파니는 KIM 원해→잔류 확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터풋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터풋볼] 박윤서 기자 = 바이에른 뮌헨이 김민재에게 부족했던 점을 진단했다.

뮌헨 소식통 'Bayern≥rmany'는 28일(이하 한국시간) 독일 '빌트'를 인용하여 "뮌헨은 김민재와 계획하고 있다. 뱅상 콤파니 감독은 김민재와 함께 하고 싶어한다. 내부 분석 과정에서 뮌헨은 김민재가 경기를 뛸 때 더 많은 소통과 대화, 지원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라고 전했다.

최근 방출설에 시달렸던 김민재. 모두 사실이 아니었던 모양이다. 독일 '키커'는 지난 26일 "믿을 수 있는 에릭 다이어만이 남아있다. 잘 알려진 매각 후보인 마타이스 데 리흐트와 다요 우파메카노 외에도 뮌헨은 김민재를 적절한 제안이 온다면 매각할 것이다"라고 보도했었다.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UCL) 4강 1차전 레알 마드리드전 실수와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이후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그러나 곧바로 다른 보도가 이어졌다. 독일 'TZ'는 막스 에베를 뮌헨 단장이 김민재와의 미래를 계획하고 함께 하고 싶어한다고 전했다. 여기에 독일 '빌트'까지 가세한 것이다.

인터풋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빌트'는 뮌헨이 김민재의 부진 원인을 소통 부재로 내렸다고 전했다. 어찌 보면 당연한 이야기다. 김민재가 유럽 빅리그에서 활약한 건 이번이 두 시즌째. 지난 시즌 나폴리에 이어 이번 시즌 뮌헨이었다. 팀 동료들과 정상적으로 무리 없이 소통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을 수도 있다.

더군다나 김민재의 포지션인 센터백 특성상 골키퍼는 물론이고 센터백 파트너, 풀백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경기에 참여해야 한다. 수비 라인을 맞추거나 수비 범위 커버 등에 있어서 서로 이야기할 것이 많다. 이 부분이 부족했다고 본 것이다.

매체는 이어 "이러한 부분은 토마스 투헬 감독 시절에는 부족했다"라며 투헬 감독이 이끌었을 때 잘 이루어지지 않은 점이라고 짚었다. 김민재는 투헬 감독에게 철저히 외면당했다. 시즌 초반에는 주전으로 나섰으나 아시안컵 이후 에릭 다이어가 합류하면서 주전 자리를 내줬다.

인터풋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투헬 감독은 김민재의 공격적인 수비를 좋아하지 않았다. 김민재는 상대 수비보다 한발 앞서 나가는 적극적인 수비 스타일을 가진 선수다. 빠른 발을 이용해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그러나 약점이 있을 수밖에 없다.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면 수비 뒷공간이 비게 된다. 투헬 감독은 이런 도전적인 수비보다는 앉아서 기다리는 수비를 선호했고, 다이어와 마타이스 데 리흐트를 기용했다.

김민재의 약점을 대놓고 저격하기도 했다. 투헬 감독은 UCL 4강 1차전 수비 뒷공간을 놔두고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 실점을 내준 김민재를 "두 번이나 욕심이 많았다"라며 공개적으로 질책한 바 있다. 감독이 인터뷰에서 선수를 까 내리는 것은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결국 원인은 '소통 부재'였다. 투헬 감독 지휘하에서는 이런 부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나 보다.

인터풋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터풋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콤파니 감독은 다르다. 투헬 감독의 뒤를 이어 새롭게 지휘봉을 잡은 콤파니 감독은 시작도 전에 김민재와 궁합이 잘 맞는 듯하다. '빌트'가 콤파니 감독이 김민재와 함께 하고 싶어한다고 보도한 것뿐 아니라 콤파니 감독이 직접 밝힌 것도 김민재와 부합한다.

콤파니 감독은 뮌헨 감독 부임 이후 선수단에게 바라는 것으로 용기와 공격성을 꼽았었다.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수비를 펼치는 김민재가 주전으로 도약할 가능성이 높다. 독일 분데스리가 공식 홈페이지도 콤파니 감독의 다음 시즌 예상 베스트 일레븐에 김민재를 선정하기도 했다.

Copyright ⓒ 인터풋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