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수·불운 겹쳐 1·2차전 연패…근본적 문제는 '격렬해진 여자축구'
"50대50 싸움서 자꾸 졌다"…벨 감독은 끝까지 고강도 필요성 강조
드디어 골! |
(브리즈번=연합뉴스) 이의진 기자 = 콜린 벨 감독이 이끈 한국 여자 대표팀이 2023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에서 선전을 목표로 달려온 4년간 여정을 마쳤다.
대표팀은 2019년 프랑스 월드컵에 이어 두 대회 연속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전패한 직전 대회와 달리 이번 호주·뉴질랜드 월드컵에서는 FIFA 랭킹 2위 독일을 상대로 1-1 무승부를 거뒀다는 게 그나마 위안거리다.
그러나 냉정하게 보면 이번에도 조 최하위를 기록하는 등 세계 축구의 높은 벽을 다시 한번 느꼈다.
벨호가 고전한 이유는 복합적이다. 표면적으로 보면 실수와 불운이 겹쳤다.
콜롬비아와 1차전에 나온 실점이 모두 실수라고 볼 만한 장면에서 나왔다.
경기 초반 상대를 압도한 대표팀은 상대 슈팅이 심서연(수원FC)의 팔에 맞았다는 판정이 나와 분위기가 꺾였다.
환호하는 조소현과 추효주 |
이에 따른 페널티킥으로 먼저 실점한 대표팀은 전반 39분에 나온 골키퍼 윤영글(BK 헤킨)의 뼈아픈 실책 탓에 0-2로 몰렸다.
린다 카이세도의 중거리 슛이 정면으로 향했는데 이를 제대로 쳐내지 못해 공이 골문으로 흘렀다.
모로코와 2차전도 킥오프 직전 핵심 수비수 임선주(인천 현대제철)가 갑작스러운 종아리 통증으로 이탈하는 불운이 닥쳤다.
매 장면을 뜯어보면 단순 실수보다 근본적인 문제점도 포착된다.
선수들이 월드컵 수준의 치열한 몸싸움·경합을 좀처럼 이겨내지 못한 것이다.
카이세도는 중거리 포로 득점하기 전 하프라인에서 가속하며 김혜리(인천 현대제철)를 순식간에 벗겨내 슈팅 기회를 잡았다.
무섭게 밀고 들어오는 즈라이디에게 공간을 선점당하자 홍혜지가 뒤늦게 어깨싸움을 시도했지만 그대로 넘어졌다.
지시하는 벨 감독 |
경기 시작 6분 만에 선제골을 만든 독일전에는 상대의 '공중 공격'을 막지 못했다.
스베냐 후트가 오른 측면에서 크로스를 올리자 독일의 골잡이 알렉산드라 포프가 몸싸움 끝에 김혜리를 제압한 후 헤딩으로 마무리해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순발력·주력·완력·높이 등 세계 무대에 나선 팀들과 운동능력 격차가 여실히 드러난 월드컵이 된 것이다.
대표팀이 패한 팀들은 모두 FIFA 랭킹 20위 밖이다.
이런 팀들과도 '피지컬 격차'가 나타났다는 점에서 여자축구의 발전 속도에서 뒤진 게 아닌지 따져볼 만한 대목이다.
특히 나이지리아(40위), 자메이카(43위), 남아프리카공화국(54위) 등 우리보다 랭킹이 훨씬 낮은 팀도 16강 진출을 이뤘다는 점은 되짚어볼 만하다.
이 팀 선수들은 빠른 발을 자랑하면서도 격렬한 신체 충돌을 불사하는 등 유럽 팀에 뒤지지 않는 운동능력을 보여줬다.
독일전 각오 밝히는 벨 감독 |
점점 잦은 스프린트와 격렬한 몸싸움이 등장하는 여자축구의 흐름에 가장 경각심을 느낀 사람은 벨 감독이다.
이번 월드컵 기간 유럽 팀 지도자들의 기자회견에서 가장 많이 나온 말이 '고강도'로 번역되는 하이-인텐서티(high-intensity)다.
최고 속력으로 올리거나 전력으로 상대와 부딪치는 등 선수에게 체력·정신적 부하가 가해지는 활동을 총칭한다.
이 단어는 2019년 부임한 벨 감독이 지향하는 '슬로건'이자 대표팀을 운영하는 '지도 철학'으로 자리잡았다.
벨 감독은 모로코전 패배로 16강 탈락이 유력해지자 한국 여자축구 '전면 개혁'을 주장하며 "지겹도록 '고강도'를 이야기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고강도라는 세계적 흐름을 우리나라에 이식하려 한 벨 감독의 야심 찬 기획은 일단 월드컵 무대에서는 빛을 보지 못했다.
3일 독일전을 끝으로 월드컵 일정을 마친 벨 감독은 "이제는 미래를 봐야 한다"면서도 다시 고강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벨 감독은 "강도 높은 경기를 치르며 빠른 속도를 보여주지 못하면 현대축구에서 기회를 얻을 수 없다"며 '고강도 축구'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매진할 뜻을 내비쳤다.
pual07@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