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이슈 대한민국 저출산 문제

한은 “코로나로 저출산 심화...혼인감소 2022년까지 계속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여파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저출산 추세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결혼·출산 여부에 코로나가 미치는 여파는 2022년까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 조사국 거시재정팀의 김민식 차장 등 연구진은 30일 발간한 ‘포스트(後) 코로나 시대 인구구조 변화 여건 점검’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의 고용·소득 충격이 20∼30대에 상대적으로 집중된 점이 혼인·임신 감소에 크게 영향을 줬을 것”이라며 이처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현재 국내 고령인구 비율은 15.7%로 OECD 평균(17.9%)보다는 낮지만, 고령화 속도는 가장 빠르다. 특히 2018년 세계에서 유일하게 0명대(0.98명) 출산률을 기록한 이후 올해 3분기에는 0.84명까지 하락했고, 출산률 선행지표인 혼인률 하락속도도 OECD에서 가장 빠른 상황이다.

연구진은 우리나라의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률이나 사망률이 비교적 낮아 직접적인 인구 피해는 적을 것으로 예측하면서도, 젊은 층의 낮은 혼인률과 저출산 상황에는 악영향을 미쳐 인구 변화에 부정적인 영햫을 끼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진은 “대규모 재난 이후에 통상적으로 나타나는 베이비붐(출산율의 급반등) 현상도 그 정도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 바이러스는 사회 전반의 경제·심리적 불안을 키워 혼인·출산 결정을 취소 혹은 연기하는 쪽으로 작용한다”고 했다.

연구진은 이 같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여파가 2022년까지 적어도 2년은 이어질 것으로 봤다. 특히 2022년 합계출산률이 통계청이 지난해 장래인구특별추계상 비관적인 시나리오에서 예측했던 0.72명보다도 낮아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진은 “코로나19에 따른 저출산 심화는 시차를 두고 생산가능인구의 본격적 감소로 이어지고, 이들이 출산 적령기에 이르게 될 2045년 이후에는 2차 저출산을 초래할 수 있다”고 했다.

[김효인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