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호 / 사진=팽현준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청담=스포츠투데이 이정철 기자] 이대호 프로야구선수협회 전 회장이 판공비 논란에 직접 입을 열었다.
이대호는 2일 청담 리베라호텔 베르사이유홀에서 판공비 논란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1일 SBS는 이대호가 2019년 3월 선수협회장에 취임한 후 회장에게 주어지는 1년간 판공비를 기존 3000만 원에서 6000만 원으로 2배 인상했으며 개인계좌로 입금받아 사용했다고 보도했다.
선수협회비는 전체 선수들이 연봉의 1%를 각출해 조성한다. 여기서 판공비는 증빙자료 제출이 의무가 아니기에 사용처를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자 언론 보도에 따른 판공비 논란이 발생했고 이대호가 이에 대해 직접 해명했다. 판공비 인상은 본인이 회장으로 부임하기 전에 선수들의 의결로 인상된 사안이라는 점, 판공비는 회장 및 이사진의 보수 및 급여로 분류해 세금 공제 후 지급되고 있다는 점을 설명했다.
이대호는 "먼저 제 판공비와 관련해, 물의를 일으킨 점에 대해서 사과 말씀드리겠다"며 "그러나 일부 언론에서 보도된 내용과 관련해 일부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는 점을 말씀 드리고자 이 자리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이어 "2017년 4월3일부터 프로야구 선수협회 회장직은 공석이었다. 2019년 2월 스프링캠프 도중, 진행된 선수협회 순회미팅에서 약 2년간 공석이던 회장을 선출하자는 의견이 나왔다"며 "또한 회장후보로 거론되고 있던 대부분의 선수들이 운동에 집중하고자 회장이라는 중책을 맡는 것에 대해 난색을 표했었고 이에 회장직 선출에 힘을 싣고자 회장 판공비 인상에 대한 의견들이 모아졌다. 이 의견들의 의사결정을 위해 2019년 3월18일 임시이사회가 개최됐다"고 판공비 인상이 이뤄졌던 당시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이대호는 "이사회에 모인 30명의 선수들이 후보 선정과 투표방법을 논의했고, 당시 사무총장이 회장의 업무와 임기 그리고 판공비에 대해 설명했다"며 "그 과정에서 모두가 마다하는 회장직을 선임하기 위해서는 판공비를 증액하자는 건의가 나왔고, 과반 이상의 구단의 찬성으로 기존 연 판공비 2400만 원에서 6000만 원으로 증액하는 것이 가결됐다"고 밝혔다.
이어 "운동만 하던 선수들이다 보니 회장직을 맡는 것을 모두 꺼리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회장이라는 자리에 앉는 사람을 배려하고 또 존중하는 마음으로 자리에 모였던 선수들이 제안해 가결된 일"이라며 "만약 2019년 3월19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된 회장 선거에서 제가 아닌 다른 선수가 당선됐더라면 그 선수가 회장으로 선출돼 판공비를 받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대호는 또한 "사실상 당시 선수협회 회장으로 누가 당선될지 전혀 모르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일부 언론에서 보도한 바와 같이 제가 제 이익만을 위해 판공비를 스스로 인상한 것은 아니었다는 점을 이 자리를 빌어 말씀드린다"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반드시 전날 보도된 기사내용을 정정해 줬으면 한다"고 전했다.
이어 판공비 현금화와 개인용도 사용에 대해서 이대호는 "일부 언론에서 제가 판공비를 현금으로 지급받은 후 사용처를 제시하지 않은 채 제 개인용도로만 사용한 것으로 보도한 바 있다"며 "그러나 선수협회에서는 역대 회장 및 이사진에게 지급되는 비용을 판공비로 명명하기는 했으나, 회장 및 이사진의 보수 및 급여로 분류해 세금 공제 후 지급하고 있으며, 위 판공비 이외에 별도로 지급하는 수당이 전혀 없는 상태이다. 만약 이 관행이 문제가 된다면 조속히 바로잡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대호는 끝으로 "판공비 액수와 관련해 너무 많은 금액을 지급받는 것이 아니냐는 질타에 대해서는 당시 이사회 결의 과정에서 좀 더 깊게 생각했어야 했는데, 그러하지 못했던 점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사과 말씀드린다"고 전했다.
한편 2019년 3월 선수협 회장직을 맡게된 이대호는 최근 사의를 표명하고 회장직에서 물러난 상태다.
[스포츠투데이 이정철 기자 sports@sto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