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9 (목)

이슈 [연재] 스포츠서울 '고진현의 창(窓)과 창(槍)'

[고진현의 창(窓)과 창(槍)]'공간'이 아닌 '장소'가 되어야 할 정선 알파인경기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서울


[스포츠서울 고진현기자]더 이상 갑론을박할 시간은 없다. 이젠 결단을 내려야할 시점이 온 것 같다. 복원과 존치를 놓고 치열하게 논쟁 중인 2018평창동계올림픽 정선 알파인경기장 문제가 데드라인을 향해 치닫고 있다. 정선 알파인경기장은 올림픽을 마친 뒤 토지 소유자인 산림청에 반환하기로 돼 있다. 기한은 다음달 31일까지다. 물론 비딩파일에 약속한대로 복원하는 게 원안이겠지만 올림픽 레거시(legacy)와 경제적 효용성이라는 또 다른 가치의 등장으로 솔로몬의 지혜가 요구되고 있다. 환경과 생태보호라는 거대담론을 떠나 사회적 합의와 약속을 지켜야한다는 논리는 그동안 이 문제를 접근하는 출발점이나 다름 없었다. 그러나 유연한 사고와 창조적 상상력을 옭아맸던 준법정신이라는 단단한 틀은 동계올림픽 지원법에 명시된 단서조항으로 어느정도 금이 갔다. 복원이 원칙이지만 동계 스포츠 활성화와 지역경제를 위해 필요하다면 사후활용도 가능하도록 단서조항을 달아놓았기 때문이다.

2018평창동계올림픽은 온갖 난관을 뚫고 성공적인 이벤트로 막을 내렸다. 북한을 참여시켜 냉랭한 한반도에 올림픽의 기본정신인 평화의 가치를 드높인 것은 물론 흑자 올림픽이라는 또 다른 지평도 열었다. 올림픽 무브먼트와 역사에서 평창동계올림픽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서라도 올림픽 레거시는 절실해졌다. 올림픽 레거시가 반드시 유형의 자산에만 국한될 수는 없겠지만 무형의 레거시보다는 훨씬 유용하다는 사실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인간은 공간(space)에 의미를 더해 특별한 장소(place)를 만들어 이를 기억하고 추억하는 남다른 특성을 지녔기 때문이다. 정선 알파인경기장이 공간이 아닌 장소로 탈바꿈하는 데는 스토리텔링을 양산한 올림픽이라는 모멘텀 덕분이다.

정선 알파인경기장이 올림픽 레거시로 크나큰 가치를 지니는 또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스키 불모지인 동아시아 스키의 허브(hub)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확신 때문이다. 북한을 포함해 아시아스키연맹(ASF)소속 14개국은 이미 정선 알파인경기장 존치를 바라는 탄원서를 국제스키연맹(FIS)에 제출한 바 있다. 한국이 향후 정선 알파인경기장을 통해 개발도상국 스포츠 발전지원을 위한 공적개발원조사업(ODA)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셈이다.

환경과 생태 문제 또한 새롭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과연 기대대로 가리왕산의 생태 복원이 가능한지도 냉정하게 따져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분석이다. 이들은 “원상태로 되돌리기엔 문제가 있고 오히려 스키장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새로운 생태계를 만드는 게 오히려 더 좋은 방법”이라고 제안하기도 했다.

복원과 존치를 놓고 워낙 첨예한 대결을 펼치는 틈을 타 절충안도 등장했다. 일부만 복원하거나 곤돌라만 활용하자는 어정쩡한 주장이다. 이는 명분과 현실을 모두 도외시한 가장 어리석은 결정이다. 자칫 게도 구럭도 다 놓칠 수 있는 최악의 결정만은 막아내야 한다는 안팎의 목소리는 귀담아 둘 필요가 있다. 정선 알파인경기장은 결국 존치와 복원이라는 두 가지 방식을 놓고 논의돼야 하며 그 결정에선 고답적인 명분과 가치를 좇기 보다는 현실적인 측면이 우선돼야 한다는 게 필자의 소신이다. 무려 2000억원의 건설비용에다 환경을 훼손하면서 발생한 사회적 비용까지 고려한다면 이를 원상 복원하자는 주장은 경제적 측면을 너무나 얕본 순진한 발상이 아닐까 싶다. 전문가의 분석에 따르면 복원비용이 많게는 2000억원까지 늘어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여 걱정이 앞선다.

환경과 생태의 가치가 시대에 걸맞는 어젠다라고는 하지만 과연 복원이 실현 가능할지도 의문이다. 복원보다 존치에 염두를 둔 경기장 건설로 생태 복원은 그리 녹록치 않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복원에 따른 2차 환경문제도 간과해서는 안될 대목이다. 지하 매설물 등 폐기해야할 영구 시설물이 무려 7만t에 이르며 이 시설물이 또 다시 2차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다는 사실은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사태를 입체적으로 파악한다면 답은 하나다. 어느 한 쪽의 가치를 일방적으로 내세우기보다는 다양한 이해관계를 총체적으로 묶어낼 수 있는 선택이 가장 바람직한 결정이 아닐까 싶다. 그 결정에는 공공성, 상징성, 수익성 등이 함께 고려돼야 할 것이다. 현재로선 복원보다는 경기장의 존치가 더 합리적이라는 게 대체적인 견해다. 세 가지 목적을 한꺼번에 충족시킬 수 있는 정선 알파인경기장 존치는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을 유산으로 남길 수 있는 좋은 호재다. 올림픽 레거시는 공간에 의미를 더해 장소를 만드는 게 본질이다. 정선 알파인경기장이 ‘공간’이 아닌 ‘장소’가 됐으면 좋겠다.
부국장 jhkoh@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