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클래식 현장리뷰] '김민재 퇴장' 전북, 상주에 1-2 역전패...최강희 감독 200승 연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터풋볼

[인터풋볼=전주] 박주성 기자= 전북 현대가 상주 상무에 역전패를 기록했다. 최강희 감독의 K리그 통산 200승은 다음 경기로 연기됐다.

전북은 20일 오후 7시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KEB 하나은행 K리그 클래식 30라운드에서 정혁의 선제골 후 주민규, 김호남에게 골을 허용하며 상주에 1-2 역전패를 기록했다. 김민재의 퇴장으로 수적열세에 시달린 전북은 승점 60점으로 일단 선두 자리를 유지했다. 상주는 승점 31점으로 10위로 올라섰다.

[선발명단] 공격 선택한 전북, 수비 선택한 상주

인터풋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홈팀 전북은 4-1-4-1 포메이션을 가동했다. 최전방에 에두를 두고 2선에 이승기, 장윤호, 이재성, 로페즈가 배치됐다. 수비형 미드필더에는 정혁이 자리했고, 포백은 최철순, 임종은, 김민재, 한교원이 구성했다. 골문은 홍정남이 지켰다.

원정팀 상주는 4-3-3 포메이션을 선택했다. 전방에 김호남, 유준수, 진대성이 섰고 중원에는 이종원, 김남춘, 여름이 배치됐다. 포백은 홍철, 임채민, 김진환, 신세계가 구성했고 골문은 최필수가 지켰다.

[전반전] 정혁의 프리킥골, 김민재의 퇴장

인터풋볼

경기 초반부터 양상은 뚜렷했다. 전북은 뚫기 위해 앞으로 나갔고 상주는 뒷문은 탄탄히 걸어 잠갔다. 상주가 무조건 수비만 한 것은 아니다. 때때로 빠르게 역습을 시도하며 전북의 뒷공간을 노렸다. 양 팀은 공방전을 펼치며 점유율 싸움을 이어갔다. 자연스럽게 슈팅은 거의 나오지 않았다.

첫 슈팅은 전반 14분에 나왔다. 가운데서 공을 잡은 로페즈는 과감하게 슈팅을 시도해 코너킥을 얻었다. 전반 15분에는 한교원의 크로스를 에두가 논스톱 슈팅으로 연결했지만 골키퍼 정면으로 향했다. 전반 23분 상주는 좋은 위치에서 프리킥을 얻었고 홍철의 크로스를 임채민이 헤딩으로 노렸으나 크게 벗어났다.

답답한 전북은 중거리 슈팅으로 답을 찾으려 했다. 전반 26분 최철순이 박스 정면에서 슈팅을 날렸다. 전반 30분 정혁의 헤딩 슈팅은 수비에 살짝 걸리며 벗어났다. 계속되는 공격은 득점으로 이어졌다. 전반 33분 박스 정면에서 얻은 프리킥을 정혁이 마무리하며 골을 기록했다.

변수가 발생했다. 전반 40분 경합 과정에서 발을 높이 올린 김민재가 경고를 받으며 경고누적으로 퇴장을 당했다. 이에 최강희 감독은 장윤호를 빼고 이재성을 투입하며 김민재의 빈자리를 메웠다. 남은 시간 전북은 침착하게 수비에 집중했고 1-0으로 앞선 채 전반을 마쳤다.

[후반전] 주민규의 동점골, 김호남의 역전골

인터풋볼

상주는 후반 시작과 함께 진대성을 빼고 주민규를 투입했다. 결정적인 기회도 찾아왔다. 박스 안에서 패스를 받은 윤준수가 내줬고 완벽한 찬스에서 이종원의 슈팅이 크게 벗어났다. 분위기가 올라온 상주는 후반 8분 김진환을 빼고 윤주태까지 투입했다. 결국 상주의 골이 터졌다. 후반 15분 유준수의 패스를 주민규가 정확하게 슈팅으로 연결하며 동점골을 터뜨렸다.

전북도 물러서지 않았다. 숫자가 부족하지만 후반 19분 로페즈를 빼고 이동국을 투입했다. 이후 전북의 공격이 살아났다. 후반 29분에는 왼쪽 측면에서 최철순이 프리킥을 얻어 날카로운 크로스로 연결됐다. 날아간 공은 최필수 골키퍼가 정확하게 잡아냈다. 승리를 원하는 전북은 계속해서 공격을 시도했다.

전북은 계속해서 공격 자원을 투입했다. 후반 19분 로페즈를 빼고 김신욱을 투입하며 모든 카드를 다 사용했다. 이제 전북은 득점을 노리며 공격을 퍼부었다. 상주도 공격을 멈추지 않았다. 후반 40분에도 주민규는 강력한 중거리 슈팅으로 전북의 골문을 노렸다. 하지만 후반 추가시간 김호남의 역전골이 터지며 경기는 상주의 승리로 끝났다.

[경기결과]

전북 현대(1)-정혁(전33)

상주 상무(2)-주민규(후15), 김호남(후반 추가시간)

사진=윤경식 기자

Copyright ⓒ 인터풋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