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물가 웃도는 생활물가 상승률
가공식품 73% 연말보다 가격 올라
필수재 위주 구매 저소득층 직격탄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가공식품 등 생활물가의 고공행진이 가계 소비 부담을 키우고 있다는 한국은행 분석이 나왔다. 의식주 지출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이 특히 큰 고통에 노출되는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불평등'도 지적됐다.
18일 한은 조사국은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통해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2%) 부근에서 안정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문제는 생활물가 오름세가 더 가파르다는 점이다. 고인플레이션이 시작된 2021년부터 지난달까지 생활물가 누적 상승률은 19.1%로, 소비자물가 상승률(15.9%)을 3.2%포인트 웃돌았다. 생활물가는 자주, 많이 사는 140여 개 생필품으로 산출해 피부로 느끼는 장바구니 물가를 더 잘 나타낸다.
지난해 하반기 큰 폭 축소됐던 생활물가와 소비자물가 상승률 격차는 올해 들어 다시 벌어졌다. 가공식품 73개 품목 중 53개(73%) 가격이 지난 연말보다 올랐기 때문이다. 실제 생활물가 상승률에 대한 가공식품 기여도도 지난해 하반기 0.15%포인트에서 올해 1~5월 0.34%포인트로 두 배 이상 커졌다. 한은은 "지난해 이후 누적된 수입 원자재 가격과 환율 상승이 시차를 두고 소비자 가격에 전가된 것"이라며 "이외 임금과 금융비용, 이윤, 물류비용 등에도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가공식품 73% 연말보다 가격 올라
필수재 위주 구매 저소득층 직격탄
![]()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가공식품, 주거비 등 생활물가 평가와 향후 주요 물가 동인 점검'을 주제로 열린 상반기 물가 설명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가공식품 등 생활물가의 고공행진이 가계 소비 부담을 키우고 있다는 한국은행 분석이 나왔다. 의식주 지출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이 특히 큰 고통에 노출되는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불평등'도 지적됐다.
계속 오르는 생활물가... 주요국 평균보다 비싸
18일 한은 조사국은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를 통해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2%) 부근에서 안정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문제는 생활물가 오름세가 더 가파르다는 점이다. 고인플레이션이 시작된 2021년부터 지난달까지 생활물가 누적 상승률은 19.1%로, 소비자물가 상승률(15.9%)을 3.2%포인트 웃돌았다. 생활물가는 자주, 많이 사는 140여 개 생필품으로 산출해 피부로 느끼는 장바구니 물가를 더 잘 나타낸다.
지난해 하반기 큰 폭 축소됐던 생활물가와 소비자물가 상승률 격차는 올해 들어 다시 벌어졌다. 가공식품 73개 품목 중 53개(73%) 가격이 지난 연말보다 올랐기 때문이다. 실제 생활물가 상승률에 대한 가공식품 기여도도 지난해 하반기 0.15%포인트에서 올해 1~5월 0.34%포인트로 두 배 이상 커졌다. 한은은 "지난해 이후 누적된 수입 원자재 가격과 환율 상승이 시차를 두고 소비자 가격에 전가된 것"이라며 "이외 임금과 금융비용, 이윤, 물류비용 등에도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우리나라 생활물가는 낮은 생산성과 개방도, 높은 유통비용 등 구조적 문제 탓에 장기간 높은 수준을 지속해왔다. 국제적으로 비교해봐도 확실히 비싸다. 2023년 우리나라의 의류(161), 식료품(156), 주거비(123) 물가 수준은 모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100)를 크게 웃돌았다. 식료품 중 과일·채소·육류가격 수준은 OECD 평균의 1.5배가 넘었고, 빵이나 유지류 등 가공식품 가격도 높은 편이었다.
![]() |
팬데믹 이후 누적 물가상승률. 그래픽=신동준 기자 |
'인플레 불평등' 심화... 저소득층 고통 가중
한은은 생활물가가 오르면서 가계의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소비지출에도 부정적 영향이 커지고 있다고 짚었다. 실제 설문 결과, 올해 1~4월 중 소비지출을 늘리지 않은 응답자 62%가 '물가 상승에 따른 구매 여력 축소'를 주 원인으로 꼽기도 했다. 높은 식료품 가격이 가계의 기대인플레이션율을 높여 중장기적 물가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무엇보다 누적된 생활물가 상승은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생활비 부담을 더 크게 짓누르는 요인이 된다. 고소득층보다 필수재 소비 비중이 높은 탓이다. 팬데믹 이후 같은 품목 안에서도 저가 제품 가격이 더 크게 뛰는 '칩플레이션(Cheapflation)'이 발생해 인플레이션 불평등을 한층 심화시켰다고 한은은 덧붙였다.
결국 해답은 구조개혁에 있다는 결론이다. 한은은 "규제와 진입장벽 완화 등을 통해 기업 간 경쟁을 촉진하는 한편, 원재료 수입선을 다변화해 특정 품목 충격이 여타 품목으로 확산하는 정도를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단기적으로는 일정 물량에 낮은 관세를 매기는 '할당관세'를 통해 농산물 등 수입 원재료 가격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강유빈 기자 yubin@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