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매일경제 언론사 이미지

‘연체·파산’ 벼랑 끝 몰렸는데...47조 코로나 대출 만기 코앞에

매일경제 서정원 기자(jungwon.seo@mk.co.kr)
원문보기

‘연체·파산’ 벼랑 끝 몰렸는데...47조 코로나 대출 만기 코앞에

서울구름많음 / 26.2 °
中企 10곳 중 6곳, 번 돈으로 이자도 못 내
대출 연체율 치솟고 파산 신청도 역대 최대


[매경DB]

[매경DB]


불황 장기화 여파로 은행대출 이자를 내지 못해 연체의 늪에 빠진 중소기업이 늘고 있다. 끝내 버티지 못한 한계기업은 파산 신청을 하기 위해 법원으로 몰려들고 있다.

1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국내 은행 원화대출 중소기업 연체율은 0.76%를 기록해 대기업(0.11%)과 가계(0.41%)보다 훨씬 높았다. 중소기업 연체율은 2023년 1분기 0.41%, 지난해 1분기 0.58%, 지난해 4분기 0.62%에 이어 계속 치솟고 있다.

중소기업이 위기에 빠진 것은 불황 여파로 수주난에 허덕이면서 이자 낼 돈조차 못 벌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 비중은 45.5%로 최근 4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중소기업 중 1 미만인 기업 비중이 60.5%로 4년래 최고치로 치솟은 탓이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1 미만이면 번 돈으로 원금은커녕 이자도 못 갚고 있다는 뜻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대기업은 영업이익 증가에 힘입어 이자보상배율이 상승한 반면, 중소기업은 취약기업(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오는 9월 말에는 코로나19 대유행 때 시행됐던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가 만료된다.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만기연장 44조9000억원, 상환유예 2조5000억원을 포함해 총 47조4000억원이나 된다. 금융당국은 지난 2020년부터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를 적용해 왔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은행은 불확실성 가득한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을 꺼리고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 4월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에 대한 올 2분기 국내 은행권 대출태도지수는 전분기 0에서 -6으로 마이너스 전환했다. 숫자가 낮을수록 은행이 대출을 꺼린다는 의미다. 대기업은 3에서 6으로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조은정 한국은행 은행분석팀 과장은 “대내외 경제여건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은행에서 여신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는 추세”라며 “중소기업 대출의 경우 취약업종을 중심으로 대출받기가 더 까다로워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더 이상 사업을 지속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파산 신청을 하는 중소기업도 폭증하고 있다. 법원통계월보에 따르면 올해 1~4월 법인 파산 신청 건수는 718건으로 전년 동기(635건)보다 13.1%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해 1월 111건이던 파산 신청 건수는 2월 164건, 3월 172건, 4월 265건으로 계속 늘며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지난해 파산 신청 건수가 1940건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는데 올해 1~4월 추이가 심상치 않다”며 “특단의 조치가 없는 한 올해도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할 전망”이라고 염려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