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 창녕군 대합면 오리 사육농장에서 H5형 조류인플루엔자(AI) 항원이 검출돼 방역당국 관계자가 해당 농장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13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을 평시 체계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이날부터 AI 위기경보 단계를 ‘주의’에서 ‘관심’ 단계로 하향한다. 지난해 10월 29일 이후 현재까지 25개 시·군의 가금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모두 47건 발생했다.
그러나 가금농장에서는 지난 4월 19일 이후, 야생조류에서는 지난 3월 24일 이후 추가로 고병원성 AI 발생이 없자 농식품부는 방역 단계 전환을 결정했다.
지난달 20일 전통시장 가금판매소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인됐지만, 역학적인 관련이 있는 농장과 시설에서는 특이 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 이날부로 전국 방역 지역의 이동 제한이 해제됐고, 전국 오리농장 검사에서도 추가 발생이 없었다.
다만 농식품부는 미국과 유럽 등 해외 가금농장에서 고병원성 AI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상시 검사와 방역 교육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이번 방역 조치 중 확인된 미흡 사항을 보완하기 위해 관련 제도를 개정하고 가금사육 밀도가 높은 지역에 대한 방역 관리 방안을 정비할 예정이다.
또 올해 동절기 유행에 대비해 전국 가금농장에 대한 방역실태를 점검하고, 미흡 사항은 특별방역대책 기간 전인 9월 30일까지 조치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