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스포티비뉴스 언론사 이미지

외국인 타자 빼고 번트 대타→번트 실패→동점 찬스 무산… 관중석도 술렁, SSG는 왜 스스로 족쇄를 다나

스포티비뉴스 김태우 기자
원문보기
서울맑음 / 25.3 °

[스포티비뉴스=인천, 김태우 기자] 가뜩이나 타격이 안 풀리는 상황에서 코칭스태프가 스스로 족쇄를 달았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하루였다. 모두가 고개를 갸웃거렸고, 파격적인 선택의 결과는 최악이었다.

SSG는 29일 인천SSG랜더스필드에서 열린 삼성과 주중 3연전 첫 경기이자 어린이날 9연전의 첫 경기에서 1-3으로 졌다. 이날 전체적으로 타선이 무기력했고, 논란이 된 장면도 있었다. 8회 동점 찬스에서 관중석이 술렁이는 작전이 나온 가운데 결국 동점을 만들지 못하고 무너졌다. 질 수는 있는데, 그 과정에서 이해하기 쉽지 않은 대목이 있었다.

SSG는 1-1로 맞선 7회 기회를 살리지 못하며 쫓기기 시작했다. 1사 후 박성한이 볼넷을 고른 것에 이어 오태곤의 투수 땅볼 때 투수 최원태가 2루에 악송구를 하면서 병살로 이닝이 끝나야 할 상황이 1사 1,3루 기회로 이어졌다. 행운이었다. 다만 조형우의 볼넷으로 1사 만루까지 이어진 상황에서 점수를 내지 못했다. 정준재가 2루 땅볼로, 대타 고명준이 삼진으로 물러났다.

8회 등판한 노경은이 1점을 줬지만, 어쨌든 무사 만루 위기에서 대량 실점 위기는 넘겨 기회는 있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곧바로 8회 기회가 찾아왔다. SSG는 선두 최지훈이 볼넷을 얻었다. 여기서부터 애당초 SSG의 벤치의 판단은 어쨌든 동점은 만들고 보자는 것으로 보인다. 후속 타자이자, 그나마 최근 SSG에서 타격감이 좋은 타자인 최준우에게 번트 사인이 났기 때문이다.


그런데 두 번의 번트 시도를 모두 실패한 최준우가 우전 안타를 치면서 전화위복이 됐다. 무사 1,2루에서 압박감은 삼성에 있었고, SSG는 맥브룸 한유섬 박성한이라는 3~5번 중심타선으로 이어지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SSG는 일단 동점에 집착한 듯 보였다.

SSG는 맥브룸을 대타 최상민으로 교체했다. 누가 봐도 번트를 대기 위한 교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입단 후 아직 KBO리그 적응이 덜 된 상태로 타율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그래도 맥브룸은 외국인 타자였고 타구를 외야로 날려 보낼 기대치가 있는 선수였다. 상대 투수가 공이 아주 빠른 유형도 아니었다. 1점을 뒤진 상황에서는 일단 맥브룸 한유섬의 장타를 기대하는 게 보통의 전략이다. 그러나 이 장타 가능성을 믿지 못한 SSG는 최상민에게 번트를 시켜 1사 2,3루를 만들고자 했다. 관중석이 술렁였다. 뭔가 지금까지 우리가 보던 야구가 아니었다.


벤치에서 가장 번트를 잘 대는 김성현이 이미 출전한 상황에서, 최상민에게도 압박이 심한 상황이었다. 삼성 수비는 다른 작전을 생각하지 않은 시프트를 했다. 최상민에게 페이크 번트 사인이나 런앤히트 사인이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 것이다. 압박이 심했다. 결국 최상민은 번트를 제대로 대지 못했고, 2S에 몰렸다. SSG는 스리번트 대신 강공을 선택했으나 최상민은 결국 루킹 삼진으로 물러났다. SSG의 흐름이 여기서 완전히 끊겼다. 결국 한유섬 박성한이 모두 적시타를 치지 못했다.


보통 희생번트는 기대 득점 측면에서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만 이해를 할 수 있는 상황도 있다. 1점이 정말 절실한 상황이다. 만약 이 상황이 2-2였다면, SSG는 어떻게 되든 주자를 3루에 보내 1점을 얻고 마무리 조병현을 9회에 올릴 수 있었다. 혹은 최준우보다 주력이 그나마 조금 좋은 최상민을 1루 대주자로 넣었다면, 장타 한 방에 역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금 더 나은 선택지가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상황은 1-2로 뒤진 시점, 즉 경기에 이기기 위해서는 2점 이상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1사 2,3루를 만들고 안타 하나로 두 명을 불러들이겠다는 심산이었지만, 이것도 번트가 반드시 성공한다는 보장이 있어야 한다. 최근에는 공이 빨라져 번트를 대기도 쉽지 않고 게다가 번트 시프트도 발달해 번트가 무위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최상민이 번트를 평소 아주 잘 대던 타자도 아니었다. 지난해와 올해 성공이 없었고, 2023년에는 2번 성공에 3번 실패를 했다.

선수들의 타격 슬럼프 탈출을 위해 과감한 스윙을 주문한다는 벤치는, 결정적인 순간 정작 자신들이 과감하지 못했다. 달라진 분위기를 만들어주려면 벤치의 기부터 강해야 한다. 스스로 족쇄를 달고 경기를 하려고 하는데 선수들의 발걸음이 가볍길 바라는 것은 무리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