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등 수익 배분은…"표준계약서 도입" vs "美·日도 별도 청구권 인정 안해"
K팝 댄스 그룹 무대 |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K팝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은 춤(안무)의 저작권을 보호하고자 안무가들이 저작권법 개정과 표준계약서 도입을 요구하는 가운데 대중음악계가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한국매니지먼트연합(한매연), 한국연예제작자협회(연제협),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음레협), 한국음악콘텐츠협회(음콘협) 등 4개 음악 단체는 26일 성명을 내고 "(안무) 표준계약서의 성급한 도입은 업계에 큰 혼란과 분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협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최근 몇 년 사이 가요계에서는 안무 저작권 관련 제도 도입이 화두로 떠올랐다.
현행 규정상 대중음악 안무는 저작권법 제4조 1항의 '연극 및 무용·무언극 및 그 밖의 연극저작물'의 하나로 저작물로 인정받는다. 그러나 안무 저작권 관련 세부 규정이나 저작권료 징수 방안 등은 마련돼 있지 않은 상황이다.
당시 대형 기획사인 SM, YG, JYP 3사 대표는 안무 저작권 관련 제도가 마련되면 이에 따르겠다고 답했고,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안무) 표준계약서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음악 단체들은 이에 관해 "현행 저작권법의 보호 대상으로 명시된 무용 저작물에는 대중음악 안무가 포함된다"며 "안무저작권협회 주장처럼 대중음악 안무만을 세분화해 별도로 규정하는 것은 다른 (무용의 하위 장르) 저작물과의 형평과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또 "K팝 안무는 음악과 춤이 상호 필수 불가결하게 결합한 특수한 유형으로서 미국이나 일본 등 유사하게 대중문화예술산업이 발전한 국가의 저작권법에서도 안무에 대한 별도의 수익 배분 청구권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단순히 '플랫폼 조회 수익 분배'와 같은 모호하고 불분명한 기준에 따라 무한정 인정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음악 단체들은 아울러 '몇십억 뷰 뮤직비디오'는 K팝 산업에서도 극히 예외적인 사례이고, 음반 제작자 가운데 80%는 발라드 등 안무와 관련 없는 장르를 취급한다며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tsl@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