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K팝이 단순한 콘텐츠가 아닌 어엿한 산업의 한 분야로 발전한 데는 팬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만들어진 여러 파생 상품의 공이 컸다. 나의 아이돌을 위해 앨범을 구매하고, 굿즈를 사는 규모가 커지면서 이른바 '남는 장사'로 변모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K팝은 유튜브 플랫폼을 만나 또 다른 진화를 겪고 있다. 팬들은 더 이상 수동적인 역할에 머무르지 않고 K팝 콘텐츠를 소비하고 재창조하는 능동적인 역할을 자처한다. 이들은 리액션 비디오, 뮤직비디오 해석, 팬아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아이돌의 이미지를 확대, 재생산한다.
특히 위버스, 인스타그램 라이브 등 아이돌과 팬 사이 실시간 소통이 늘어나면서 주요 장면을 잘라내 새로운 자막과 BGM을 입혀 완전히 재가공된 영상을 올리는 팬튜브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일부 유명 팬튜브는 영상의 주인공인 아이돌도 직접 언급을 할 정도로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대해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이제 팬덤이 K팝 산업의 한 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소비뿐만이 아닌 생산의 역할을 하고 있다. 팬튜브는 아이돌들이 성장해가는 과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팬들이 지나치게 제작 과정에 관여할 경우, 상업적 특성에 의해 아이돌과 팬 사이의 적절한 균형이 무너질 가능성을 지적하며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지만 K팝 아이돌에게 있어 팬튜브의 장점은 명확하다. 팬튜브를 통해 생산되는 팬 제작 콘텐츠가 가진 높은 접근성, 팬들에 의해 제작되는 만큼 아이돌의 매력이 더욱 극대화돼 긍정적으로 구축되는 점도 팬튜브의 가장 매력적인 요소다.
이에 K팝 아이돌 소속사와 팬튜브는 일종의 공생 관계와 같다. 저작권과 초상권 침해 문제, 콘텐츠의 상업적 이용 등에 대한 갈등이 남아있지만. 팬튜브는 이른바 '덕질'의 한 갈래로 콘텐츠를 생산하고, 아이돌과 소속사는 팬튜브가 생산한 콘텐츠 덕을 본다.
하지만 정덕현 평론가의 말처럼, 아이돌과 팬 간의 관계는 적절한 거리와 균형 속에서 가장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K팝 아이돌과 팬튜브가 만들어내는 이 공생 관계가 앞으로도 K팝 산업의 혁신을 주도할 수 있도록,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팬 문화를 정립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다.
[사진=각 소속사]
YTN 곽현수 (abroad@ytn.co.kr)
ytnstar@ytn.co.kr로 언제든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