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에른 뮌헨의 김민재가 슬로반 브라티슬라바와 유럽 챔피언스리그 경기에서 헤더로 공을 따내고 있다. 사진=AFPBBNews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뮌헨은 30일(한국시간) 독일 뮌헨의 푸스발 아레나 뮌헨에서 열린 2024~25 UCL 리그 페이즈 8차전 최종전 홈 경기에서 슬로반 브라티슬라바(슬로바키아)를 3-1로 눌렀다.
이로써 뮌헨은 UCL 리그 페이즈 5승 3패 승점 15를 기록, 최종 순위 12위를 기록했다.
이번 시즌부터 UCL은 본선에 진출한 36개 팀이 추첨으로 정해진 대진에 따라 리그 페이즈 8경기씩을 치러 1위부터 36위까지 순위를 가린다. 리그 페이즈 1∼8위 팀은 16강에 직행하는 반면 9∼24위는 플레이오프(PO)를 치러야 한다. 뮌헨도 PO를 통과해야 16강에 오를 수 있다.
뮌헨은 경기 시작 8분 만에 토마스 뮐러의 선제골로 앞서 나갔다. 뮐러는 키미히가 오른 측면에서 올린 크로스를 점프하며 헤더로 마무리했다.
2-0으로 달아난 뮌헨은 후반 39분 킹슬리 코망의 골로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후반 45분 역습 상황에서 상대 미드필더 마르코 톨리치에게 한 골을 내주긴 했지만 승패에는 영향이 없었다.
한편, 이강인이 교체로 투입된 파리 생제르맹(PSG)은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MHP 아레나에서 열린 슈투트가르트(독일)와 리그 페이즈 8차전 최종전에서 4-1로 대승을 거뒀다.
리그 페이즈에서 4승 1무 3패 승점 13을 기록한 PSG는 15위로 역시 PO에 간신히 올랐다.
이 골을 시작으로 뎀벨레의 원맨쇼가 펼쳐졌다. 뎀벨리는 전반 35분 강력한 오른발 슈팅으로 두 번째 골을 기록한데 이어 후반 9분에도 페널티지역 정면에서 오른발 슈팅으로 해트트릭을 완성했다.
PSG는 후반 34분 중앙 수비수 윌리안 파초의 자책골로 한 골을 허용했지만 경기 결과에는 변함이 없었다.
이날 벤치에서 대기하던 이강인은 후반 15분 데지레 두에와 교체 투입돼 약 35분 정도 그라운드를 누볐다.
부상으로 지난해 12월 중반부터 경기에 나서지 못했던 황인범은 6경기 만에 그라운드에 복귀했지만 전반전만 뛰고 일찍 교체됐다.
페예노르트는 이날 원정경기에서 3차례나 자책골을 내주는 등 6골이나 허용하는 수모를 겪었다. 이날 비록 패했지만 페예노르트는 4승 1무 3패 승점 13을 기록, 리그 페이즈 19위로 PO 진출에 성공했다.
공격수 양현준이 선발로 나선 셀틱(스코틀랜드)은 이날 영국 버밍엄의 빌라 파크에서 열린 애스턴 빌라(잉글랜드)와 리그 페이즈 최종전에서 2-4로 패했다.
PO 탈락이 일찌감치 확정된 츠르베나 즈베즈다(세르비아)의 설영우는 이날 스위스 베른의 방크도르프 슈타디온에서 열린 영보이스(스위스)와 리그 페이즈 최종전에서 결승골을 어시스트하면서 1-0 승리를 견인했다.
즈베즈다는 2승 6패 승점 6을 기록, 리그 페이즈 29위로 이번 시즌 UCL 일정을 마무리했다.
이날 즈베즈다의 왼쪽 풀백으로 선발 출전한 설영우는 후반 24분 왼쪽 측면을 돌파한 뒤 컷백을 내줘 겔로르 캉가의 결승골을 이끌어냈다. 이번 시즌 설영우의 5번째 도움(정규리그 2개·UCL 3개)이자 7번째 공격포인트(2골 5도움)였다.
지로나(스페인)에서 활약 중인 2006년생 공격수 김민수는 홈에서 열린 아스널(잉글랜드)과 리그 페이즈 최종전에서 결장했다.1-2로 패한 지로나는 1승 7패 승점 3(33위)으로 탈락이 확정됐다.
UCL 리그 페이즈를 모두 마친 결과 리버풀(7승 1패 승점 21), 바르셀로나(6승 1무 1패 승점 19), 아스널(6승 1무 1패 승점 19), 인테르 밀란(6승 1무 1패 승점 19), 아틀레티코 마드리드(6승 2패 승점 18), 바이엘 레버쿠젠(5승 1무 2패 승점 16), 릴(5승 1무 2패 승점 15), 애스턴 빌라(5승 1무 2패 승점 16)가 8위 안에 들어 16강 직행 티켓을 거머쥐었다.
반면 강력한 우승후보인 레알 마드리드(5승 3패 승점 15)와 맨체스터 시티(3승 2무 3패 승점 11)는 각각 11위, 22위에 그쳐 PO를 치르는 신세가 됐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