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투수진 일본만큼 급성장
정규시즌처럼 운영한 벤치워크
선발진 못키우면 세계수준 못가
도미니카공화국과 치른 WBSC 프리미어12 B조 조별리그에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둔 한국 대표팀 류중일 감독이 경기 후 생각에 잠겨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포츠서울 | 장강훈 기자] 기대가 크지 않았다. 슈퍼라운드 진출을 낙관할 수 없는 전력. 비단 선수 기량을 말하는 게 아니다. 전반적으로 리그 수준이 하향평준화된 터라 국제대회를 통해 자국 리그 경쟁력을 키우려는 다른 국가보다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이 주관하는 프리미어12에 출전 중인 한국 야구대표팀 얘기다.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프리미어12 2024 B조 조별리그 대한민국과 도미니카공화국의 경기. 승리를 거둔 대한민국 선수들이 함께 기뻐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 대표팀 최원준이 프리미어12 B조 조별리그 도미니카공화국전 8회말 2사 3루에서 적시타를 친 뒤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올해 대표팀은 예년보다 젊은 선수 위주로 편성했다. 한국야구위원회(KBO) 허구연 총재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선발이다.
축구처럼 연령별 대표팀을 꾸리기 힘든 야구 국제대회 현실을 고려하면, 바른 판단으로 보인다. KBO리그에서 활약 중인 젊은 선수가 국제대회 경험을 쌓는 쪽이 장기적 관점에서 국제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 적어도 야수쪽은 경험치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미니카공화국과 치른 프리미어12 B조 조별리그 5회초 2사에서 아리스멘디 알칸타라에게 솔로홈런을 허용한 조병현이 아쉬워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4회초 2사 1,2루에서 알렌 핸슨의 안타로 2루 주자 프랑크 로드리게스가 홈인하고 있다. 왼쪽부터 투수 소형준, 포수 박동원.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4회초 무사 2루에서 아리스멘디 알칸타라에게 투런포를 허용한 임찬규가 아쉬워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선발이 4~5회까지만 막아주면…’이라는 안일함으로는 ‘타도 한국’을 외치는 팀을 제압하기 어렵다. 1회여도, 투수의 구위나 상태가 최상이 아니라면 곧바로 교체를 준비해야 한다. 더구나 이번 대표팀은 젊은 투수로 꾸렸다. 분위기를 타면 걷잡을 수 없이 타오르지만, 변수가 발생했을 때 돌파하는 능력은 떨어진다. 이 또한 ‘성장의 밑거름’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국가대표팀에는 어울리지 않는 발상이다.
프리미어12 일본전 7회말 1사 1루에서 모리시타 쇼타에게 투런 홈런을 허용한 정해영이 아쉬워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프리미어12 쿠바전 8회초 무사 1루에서 요엘키스 기베르트에게 투런을 허용한 김택연이 아쉬워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투수도 일본 정도는 아니지만, 좋은 공을 던지는 선수가 여럿 보인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 2015년 프리미어12 초대 대회에서 한국에 패한 뒤 칼을 간 일본만큼이나 고른 기량을 뽐내는 선수들로 대표팀을 꾸린 인상이다.
대만 투수 장이가 프리미어12 한국전에서 역투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만 선발 린여우민이 프리미어12 한국전에서 역투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본 선발 다카하시 히로토가 프리미어12 한국전에서 역투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본이나 대만 모두 자국리그 흥행과 별개로 대표팀에 대한 확실한 철학을 수립해 운영했다. 단기 성과보다는 지속가능한 시스템을 정립하는 데 시간과 비용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특히 눈에 띄는 건 투수력 강화다. 올해 프리미어12에 출전한 대만 투수들은 아시안게임에 출전하는 일본 투수들과 비슷한 이미지였다. 일본 정예멤버처럼 핀포인트 제구에 능하지는 않지만, 대체로 원하는 곳에 원하는 구종을 던졌다. 야구계에서 말하는 ‘스트라이크 같은 볼’을 던질줄 아는 투수가 여럿 보였다는 의미다.
2006년 WBC 당시 한국 대표팀 투수들. 왼쪽부터 박찬호 서재응 김선우 구대성 김병현. 사진 | 최승섭기자 thunder@sportsseoul.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여기에 변화무쌍한 불펜 운영으로 상대가 적응할 시간을 주지 않은 게 큰 강점으로 작용했다. 기본적으로 제구와 구위, 타이밍 싸움에 능한 투수들이 태극마크를 달았고, 세밀한 부분까지 선수들의 장단점을 파악한 코치진의 기민함이 시너지를 일으켰다.
2009년 WBC 준우승 신화를 일군 한국 대표팀 투수들. 사진 | 스포츠서울 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리그든 국제대회든 야구는 투수놀음이다. 대표팀의 국제경쟁력 또한 투수력으로 갈린다. 프리미어12에서 드러난 한국 대표팀 투수력을 세계 12위 이내라고 자부할 수 있을까. 한국 야구계가 마주한 뚜렷한 과제다. zzang@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