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우도환(왼쪽부터), 이유미, 오정세가 4일 서울 마포구 호텔 나루 서울 엠갤러리에서 열린 넷플릭스(Netflix) 시리즈 ‘Mr. 플랑크톤’ 제작발표회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스타in 최희재 기자] “의미있는 이야기를 유쾌하고 밝게, 정신차리지 못할 정도로 끌고 가서 너무 재밌었습니다. 안 할 이유가 없었습니다.”
홍종찬 감독이 4일 오전 서울 마포구 호텔 나루 서울 엠갤러리에서 진행된 넷플릭스 새 시리즈 ‘Mr. 플랑크톤’? 제작발표회에서 작품에 대한 애정과 자신감을 드러냈다.
‘Mr. 플랑크톤’은 실수로 잘못 태어난 남자 해조(우도환 분)의 인생 마지막 여행길에 세상에서 가장 불운한 여자 조재미(이유미 분)가 강제 동행하면서 벌어지는 로맨틱 코미디. 오정세는 재미의 약혼자 어흥 역을, 김해숙은 엄격한 예비 시어머니 범호자 역을 맡았다.
‘소년심판’,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 등으로 호평받은 홍종찬 감독과 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의 조용 작가가 의기투합했다.
우도환은 ‘Mr. 플랑크톤’에 대해 “참 많은 메시지를 담고 있다. 딱 하나 꼽기 어렵지만 제목처럼 플랑크톤이라는 미생물도 가치가 있듯이 우리 모두 가치 있고 태어난 이유가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이야기다”라고 소개했다.
홍 감독은 작품을 맡은 계기에 대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작은 메시지가 큰 울림을 줬다. 캐릭터들의 감정을 끝까지 밑바닥까지 들여다보는 작가의 태도가 저의 결과도 잘 맞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로드무비라는 장르를 굉장히 좋아하지만 현실에서 하기가 어려웠는데 제가 좋아하는 장르를 취할 수 있어서 너무 좋았다”고 애정을 드러냈다.
배우 우도환(왼쪽부터), 이유미, 김해숙, 오정세가 4일 서울 마포구 호텔 나루 서울 엠갤러리에서 열린 넷플릭스(Netflix) 시리즈 ‘Mr. 플랑크톤’ 제작발표회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도환은 출연 이유로 대본의 힘을 꼽았다. 그는 “어떤 대본을 보고 ‘이건 꼭 내가 하고 싶어’라는 생각이 든 건 (처음이었다.) 물론 다른 작품들도 너무 사랑하고 소중하지만 ‘Mr. 플랑크톤’ 만큼은 제가 한 번 표현해보고 싶었다. 욕심이 많이 났다”고 말했다.
이유미는 “매 회마다 새로운 사건이 발생하고 그 안에서 재미라는 캐릭터가 너무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이걸 내가 해도 될까? 잘해낼 수 있을까? 내가 하면 욕심 아닐까?’ 걱정이 들 정도로 이 캐릭터와 사랑에 빠질 정도였다”고 전해 눈길을 끌었다.
오정세는 “글의 힘이 가장 컸다. 처음에는 만화적인 캐릭터, 이야기처럼 느껴졌는데 뒷 부분에 갔을 땐 어떤 작품보다도 땅에 붙어있는 이야기라고 다가왔다. 재미도 있고 감동도 있는 작품이어서 안 할 이유가 없었다”고 전했다.
이어 김해숙은 “무엇보다도 홍종찬 감독님과 조영 작가님에 대한 믿음이 너무 컸기 때문에 두 말 없이 함께 작업하게 됐다. 너무 좋았다”고 덧붙였다.
배우 우도환(왼쪽부터), 이유미, 홍종찬 감독, 배우 김해숙, 오정세가 4일 서울 마포구 호텔 나루 서울 엠갤러리에서 열린 넷플릭스(Netflix) 시리즈 ‘Mr. 플랑크톤’ 제작발표회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홍 감독은 제목의 의미에 대해 “플랑크톤이 바다에 사는 생물이고, 너무 작아서 눈에 보이지 않지 않나. 근데 지구의 공기를 만들어내는,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미생물이다. 사실은 우리 모두가 플랑크톤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 인생은 왜 이럴까’ 이런 생각을 해본 적 있지 않나. 저는 결함이 많은 사람이어서 이런 생각을 많이 하는데, 이런 생각을 하는 분들에게 ‘당신은 플랑크톤처럼 반짝이고 존귀한 존재다’ 이런 말을 해주는 작품인 것 같다”고 전했다.
‘Mr. 플랑크톤’은 오는 8일 공개된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