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영표·한준희 전문가 이구동성 …"3차예선 편성, 최상의 조 나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라크·요르단·오만·팔레스타인·쿠웨이트와 한 조

뉴스1

11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 조별리그 C조 6차전 대한민국과 중국의 경기 후반전, 대한민국 이강인이 선취골을 넣은 뒤 손흥민과 기쁨을 나누고 있다. 2024.6.11/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도용 안영준 기자 = 축구 전문가들이 한국 축구대표팀의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지역 3차 예선 조 추첨에 결과에 대해 "최상의 조를 받았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한국은 27일 오후(한국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AFC 본부에서 진행된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조 추첨 결과 이라크, 요르단, 오만, 팔레스타인, 쿠웨이트와 B조에 묶였다.

한국을 제외한 나머지 5개 팀이 모두 중동 팀이라, 다섯 번의 중동 원정을 떠나야 한다는 것은 달갑지 않다.

다만 한국은 톱 시드나 다름없는 강호 호주와 카타르, 전력과는 별개로 부담스러운 북한, 신태용 감독이 이끄는 등 인도네시아 등 까다로운 상대는 모두 피했다.

조 편성 결과에 대해 전문가들은 대부분 최상의 편성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이영표 해설위원은 "월드컵 최종예선 수준에서 우리가 받을 수 있는 최상의 조"라고 밝혔다.

중동으로의 장거리 원정이 변수이기는 하다. 그러나 이영표 해설위원은 반대로 중동 팀들이 한국으로 원정 오는 것도 쉽지 않다는 점을 이유로 꼽았다.

그는 "중동 팀들에게도 한국 원정은 낯설고 까다롭다. 좋은 경기력을 못 보인다"면서 "그럴 때 우리가 홈에서 치르는 5경기만 잘 잡아줘도 확실하게 치고 나갈 수 있다. 서로 잘 아는 중동 팀들은 서로 물고 물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뉴스1

요르단을 상대로 골을 넣은 한국2024.1.20/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찬하 해설위원도 비슷한 견해를 냈다. 박 해설위원은 "각 포트별로 강한 팀들은 다 피했다. 예를 들어 포트 2에선 카타르나 호주에 비해 이라크가 나쁘지 않다"고 분석한 뒤 "11월이나 3월 등 중동 선수들이 추워하는 겨울에 우리가 홈에서 경기를 하면 큰 이점"이라고 덧붙였다.

최상의 조라고는 하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한준희 해설위원은 "C조보다는 확실히 괜찮고, A조보다도 근소하게 나아 보인다"고 전체 조 판도를 평가하면서도 "다만 이라크와 요르단은 호주와 카타르에 비해 이름값은 없지만, 최근 나름대로 황금세대를 구축하고 있고 최근 상승세"라며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이어 "오만, 팔레스타인, 쿠웨이트 원정 같은 경기에서 뜻밖의 발목을 잡혀 승점을 까먹지 않아야 한다"는 견해를 냈다.

박찬하 해설위원 역시 "이라크와 요르단 모두 까다롭기는 해도 그래도 각 포트별 다른 팀들보다는 훨씬 낫고, 우리가 경쟁력만 찾을 수 있다면 충분히 이길 수 있는 팀들"이라고 했다.

이어 쿠웨이트 등 다른 팀들에 대해선 "중동의 하위권 팀들은 최종예선 내내 꾸준하지 못하다. 무시할 정도는 아니지만 월드컵 진출을 방해할 만한 팀은 없다"고 밝혔다.

한편 이영표 해설위원은 이라크와 요르단보다 팔레스타인을 경계 대상으로 꼽았다.

이영표 해설위원은 "이라크는 우리가 잘 알고 있고, 요르단도 아시안컵에서의 굴욕을 당했던 만큼 선수들의 정신 무장이 다를 것"이라면서 "반면 팔레스타인은 우리가 알던 팀과 완전히 달라졌다. 약체 같은 지키는 축구가 아니라 강팀 같은 과감한 플레이를 하더라. 조심해야 한다"고 짚었다.

뉴스1

한국은 27일 오후(한국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AFC 본부에서 진행된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조 추첨 결과 이라크, 요르단, 오만, 팔레스타인, 쿠웨이트와 B조에 묶였다.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tre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