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KIA·삼성, '2강 체제' 굳히기…뒤집기 노리는 LG·두산 [주간 KBO 전망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20일 오후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2024 프로야구 SSG 랜더스와 삼성 라이온즈의 경기. 8회말 무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삼성 윤정빈이 1점 홈런을 치고 베이스를 돌고 있다. 이 홈런으로 삼성은 KBO 최초 팀 5만 안타를 달성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프로야구(KBO) KIA 타이거즈가 선두를 지켜나가는 가운데 LG 트윈스와 두산 베어스를 제치고 단독 2위로 반등한 삼성 라이온즈가 굳히기에 나선다.

지난주 3연패를 하며 4위까지 떨어진 삼성은 두산과의 3연전을 싹쓸이하며 3위 LG를 1.5경기 차로 따돌리고 2위(43승 1무 32패)에 올랐다. 마운드에서는 백정현이 돌아와 힘을 보탰고 교체설에 휩싸인 외인 타자 데이비드 맥키넌이 2군에서 조정을 마치고 23일 '더블헤더 특별 엔트리'로 1군에 복귀해 두산 베어스와 더블헤더 1, 2차전에서 8타수 4안타 8타점을 올렸다.

여기에 삼성은 올 시즌 들어 장타군단의 모습을 자랑한다. 구자욱·김영웅이 나란히 16개씩 홈런을 쏘아 올렸고 오랫동안 부진했던 이성규(12개), 김헌곤(6개)이 제 역할을 해주며 팀 홈런 3위(85개)에 올랐다. 홈에서만 홈런 58개를 기록하며 타자친화구장인 대구 라이온즈파크를 제대로 활용하고 있다.

삼성 타선의 타율은 10개 구단 중 최하위(0.268)이지만 적재적소에 점수를 뽑아주며 연승 행진을 이어나가고 있다. 이번 주 LG와 잠실에서 순위싸움을 펼치는 삼성은 이번 시즌 5승 3패 1무로 근소하게 앞섰다. 삼성은 원태인과 코너 시볼드, 이승현을 차례로 내보낸다.

반면 최근 10경기에서 4승 6패로 부진한 LG는 분위기 전환이 필요하다. 선두권 싸움이 걸린 지난주 KIA와의 경기에서 루징시리즈를 기록한 LG는 kt 위즈에게도 일격을 맞았다. 최근 들어 불펜 투수들을 많이 소모한 LG는 타선의 힘으로 만회하고자 한다.

중심 타선의 김현수(39타수 15안타)와 하위타선 신민재(26타수 9안타)의 공격력에 기댄다. 마운드에서도 임찬규가 돌아온 만큼 선발 로테이션도 안정감이 생기고 있는 상황에서 반등에 귀추가 모인다.

6월 초까지 강팀들과 경쟁한 선두 KIA는 이번 주 하위 2팀을 만난다. 다만 주중에 격돌하는 롯데 자이언츠 상대로 3승 5패로 열세를 기록한 것이 걸린다. 거기다 부산 사직구장에서 타율 3할을 때려내며 극강의 모습을 보이는 롯데는 윤동희, 고승민, 나승엽, 황성빈 등 젊은 타자들과 유강남을 막아내는 것이 급선무다. 불행 중 다행인 점은, KIA가 이번 시리즈에서 윌커슨과 한현희를 피하면서 에이스 라인인 제임스 네일, 양현종, 캠 알드레드를 내보낼 수 있게 됐다.

두산은 한화 이글스를 상대로 다시 올라서고자 한다. 삼성과의 3연전을 모두 내준 두산은 최근 들어 투타에서 밸런스가 무너졌다. 강승호, 양석환 등 중심 타선이 제대로 찬스를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선발과 불펜 모두 흔들리고 있다. 특히 23일 더블헤더 1, 2차전에서는 브랜든과 김동주가 조기에 무너지며 승부의 추가 기울었다. 김경문 감독 부임 이후 한화에 3연전을 모두 내준 이승엽 감독은 이번 시리즈에서 '리벤지 매치'를 예고한다.

한편 주말 시리즈 내내 혈전을 펼친 NC 다이노스와 SSG 랜더스는 각각 키움 히어로즈와 kt를 만나 상위권 진입을 노린다. 역대급 경쟁을 이어나가는 이번 시즌 KBO리그가 올스타 브레이크를 일주일 남긴 시점에서 현재 순위권이 유지될지, 아니면 대반전이 쓰일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투데이/한종욱 기자 (onebell@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