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식사마·마담팡 울고, 난놈과 北·中은 환호…亞축구 엇갈린 희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한국인 신태용 감독이 인도네시아축구대표팀을 역사상 최초로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무대에 올려놓았다. 팬들의 환호에 답하는 신 감독.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난놈’ 신태용 감독이 또 한 번 대형 사고를 쳤다. 지휘봉을 잡고 있는 인도네시아를 사상 최초로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무대에 올려놓으며 새 역사를 썼다. 반면 동남아시아 축구의 양강으로 손꼽히던 베트남과 태국은 나란히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인도네시아는 11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겔로라 붕카르노 스타디움에서 열린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 F조 최종전에서 필리핀을 2-0으로 꺾었다. 승점 3점을 보태 10점 고지에 오른 인도네시아는 조 2위를 확정지어 이라크(15점)와 함께 3차 예선에 진출했다.

같은 조에서 함께 만난 동남아시아 라이벌 베트남과의 두 차례 맞대결에서 모두 승리한 게 결정적이었다. 신태용호는 지난 3월 첫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한 뒤 곧이어 열린 2차전에서도 3-0 완승을 거두며 환호했다. 베트남은 전임 사령탑 필립 트루시에(프랑스) 감독 재임 막바지 A매치 7연패의 후유증에 발목이 잡혔다. 최근 지휘봉을 물려받은 한국인 지도자 ‘식사마’ 김상식 감독이 연패의 고리를 끊어낸 게 유일한 위안이다.

중앙일보

필리핀전에서 두 번째 골을 터뜨린 뒤 환호하는 인도네시아 선수들. 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C조에서는 중국과 태국의 희비가 엇갈렸다. 1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중국과의 최종전에서 상대 밀집수비에 고전하다 1-0으로 이겼는데, 이 결과가 같은 조 태국에 치명타가 됐다. 태국이 싱가포르에 3-1로 이겨 중국과 승점(8점) 및 골득실(0)에서 동률을 이뤘지만, 두 팀 간 상대전적(1무1패)에서 밀려 조 2위를 놓쳤다. 한국 또는 태국이 한 골만 더 넣었더라면 태국이 막판 뒤집기에 성공할 수 있었지만, 기적은 일어나지 않았다.

경기 막판 태국이 소나기 슈팅을 퍼붓고도 추가 골을 넣지 못하자 ‘마담 팡’이라는 별명으로 널리 알려진 누알판 람삼 태국축구협회장이 허탈한 표정으로 그라운드를 응시하는 장면이 현지 TV 중계 화면에 잡혔다. 한편 한국전 종료 직후 서울월드컵경기장 기자실에서 태국-싱가포르전 결과를 초조하게 기다리던 중국 취재진은 3차 예선 진출이 확정되자 일제히 환호했다.

중앙일보

싱가포르에 3-1로 이기고도 3차 예선 진출이 좌절되자 아쉬워하는 태국 선수.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B조에 속한 북한은 앙숙 일본의 도움으로 3차 예선에 올랐다. 앞서 일본과의 홈경기 개최를 거부해 0-3 몰수패를 당하는 등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일본이 최종전에서 시리아에 5-0으로 대승을 거둔 게 북한에 천우신조가 됐다. 미얀마를 4-1로 꺾은 북한은 2차 예선을 3승3패(승점 9점)으로 마무리하며 시리아(7점)를 제치고 조 2위로 올라섰다.

3차 예선은 18개 팀이 6개 팀씩 3개 조로 나뉘어 치른다. 각 조 1·2위 6개 팀은 본선행 티켓을 거머쥐고 3·4위 6개 팀은 남은 2.5장의 티켓을 놓고 플레이오프 개념의 4차 예선을 치른다. 3차 예선 조 추첨은 오는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AFC 본부에서 열린다.

중앙일보

중국(흰 유니폼)은 한국에 0-1로 패하고도 가까스로 3차 예선 출전권을 확보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송지훈 기자 song.jihoo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