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1 (토)

2030 ‘골프붐’ 잦아들자…골프용품 수입 확 줄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골프용품 무역수지 적자액 8175억원…22% 축소

골프용품 수출액은 1911억원…15.2% 증가

“20·30대 골프인구 급감…신규수요 부진 결과”

“국산품질 및 브랜드 이미지 제고 시급”

이데일리

(사진=이데일리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스타in 주미희 기자] 한때 타올랐던 ‘골프붐’이 주춤하면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우리나라 골프용품 수입액도 줄어들었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소장 서천범)가 최근 발간한 ‘레저백서 2024’에 따르면, 골프용품 수입액은 지난해 7억 2840만달러(약 1조 88억원)로 2022년보다 17.0%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자료는 관세청의 수출입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했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는 “골프용품 수입규모가 급감한 것은 2030 골프인구가 급감한 데다가, 신규수요 부진에 따른 재고 증가에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골프용품의 무역수지 적자액은 2023년 5억 9030만달러(약 8175억원)로 전년보다 22.0% 축소됐다. 수입규모가 줄어들어 적자액도 감소했다. 그중 골프클럽(골프채)의 무역수지 적자액은 전년보다 23.6% 감소한 4억 6740만달러(약 6473억원)다. 전체 골프용품 무역수지 적자액의 79.2%를 차지했다.

샤프트 등 골프클럽 부분품의 무역수지 적자액은 지난해보다 23.1% 줄어든 8530만달러(약 1181억원)였다.

이런 가운데 골프공의 무역수지 적자액은 전년보다 20.3% 확대된 9370만달러(약 1297억원)로 사상 최고치에 달했다.

골프용품 수입액을 국가별로 보면 골프클럽은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액이 2억 9370만달러(약 4067억원)로 전체 수입액의 62.2%를 차지했지만, 2022년보다는 18.8% 감소했다. 골프공의 경우, 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이 4480만달러(약 620억원)로 전체 수입액의 33.1%를 차지했다.

반면 골프용품 수출액은 1억 3800만달러(약 1911억원)로 15.2%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일본으로 수출한 골프클럽이 260만달러(약 36억원)로 2022년보다 3.2배 급증했다. 골프공은 미국으로 수출액이 2750만달러(약 380억원)로 전년보다 4.6% 증가해 가장 많았다.

일본을 상대로 한 골프용품의 무역적자액이 지난해 3억 280만 달러(약 4193억원)로 2022년보다 19.7% 감소한 점이 눈에 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줄어들었다. 일본에 대한 골프용품의 무역적자액은 2019년 2억 2290만달러(약 3087억원)에서 2022년 3억 7710만달러(약 5222억원)로 그 폭이 계속 확대돼 온 차였다.

일본으로부터 골프용품을 들여온 수입액은 3억 3340만달러(약 4617억원)로 2022년보다 17.0% 감소했다. 이중 골프클럽 수입액은 2억 9370만달러(약 4067억원)로 전년보다 18.8% 감소했지만 전체 일본 수입액의 88.1%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많았다. 일본으로의 골프용품 수출액은 3060만 달러(약 423억원)에 불과했다.

국내 골퍼들이 다른 나라 제품보다 여전히 일본산 골프클럽을 선호하고 있다는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서천범 한국레저산업연구소 소장은 “국내 용품업계는 골프용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브랜드 이미지를 높여야 한다. 정부도 체육진흥기금 등을 투입해 업계의 노력을 뒷받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올해 1~4월까지의 골프용품 무역수지 적자액은 1억 9760만 달러(약 1351억원)로 전년 동기보다 29.9% 축소됐다.
이데일리

(표=한국레저산업연구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그래픽=한국레저산업연구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