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입소문 탄 이민기 ‘크래시’, 예상 밖 시청률 상승세…‘우영우’ 신드롬 재현할까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월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크래시’가 제2의 ‘우영우’ 신드롬을 노리며 월화드라마 복병으로 떠올랐다.

21일 방송된 ENA 월화드라마 ‘크래시’ 4회 시청률은 닐슨코리아 기준 수도권 4.2%, 전국 4.1%를 기록했다. 첫 방송 시청률 2.2%였던 '크래시'가 또다시 자체 최고 기록으로 4회 연속 상승한 것이다. 수도권 분당 최고 시청률 역시 5.2%까지 올랐다.

‘크래시’의 전작인 '야한 사진관'이 1%대 시청률로 종영하며 후광 효과를 전혀 받지 못했음에도 무서운 시청률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야한 사진관’의 경우 최고 시청률이 2.5%에 불과했다.

상승세를 탄 ‘크래시’가 ENA 드라마 신드롬의 시작인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넘을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2022년 방영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는 0.9%의 시청률로 출발했지만 매회 놀라운 상승 곡선을 타며 마지막 회 17.5%로 ENA 드라마 최고 기록을 세웠다.

‘크래시’는 칼 대신 운전대를 잡은 도로 위 빌런들을 소탕하는 교통범죄수사팀의 노브레이크 직진 수사극. 실제로 첫 공개 이후 빠른 전개와 배우들의 뛰어난 캐릭터 소화력, 신선한 소재로 시청자의 호평을 한몸에 받고 있다. 촘촘하게 설계된 사건과 유쾌한 캐릭터 플레이로 웰메이드 장르물에 대한 갈증을 시원하게 풀어줬다는 반응이다.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하는 교통범죄 사건들을 소재로 제작된 ‘크래시’는 실제 사건들을 모티브로 삼아 보다 현실적인 내용을 담았다. 제작사는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범죄에 대한 위험성과 예방에 대한 경각심이 ‘크래시’의 테마 중 하나”라고 밝힌 바 있다. 연출을 맡은 박준우 감독은 이미 전작 SBS ‘모범택시’로 범죄극 장르의 하이퍼 리얼리티 신드롬을 일으켰다. 교통범죄에 대한 사회적 목소리가 커져가는 요즘, ‘크래시’가 도로 위 빌런들을 남김없이 일망타진하는 사이다 전개를 선사하는 셈이다.

한 팀으로 움직이는 교통범죄수사팀(TCI)의 남다른 케미스트리와 매력적인 캐릭터도 인상 깊다. 날카로운 분석력을 가진 신입 주임 차연호를 맡은 이민기를 필두로 실전 무술과 운전 실력을 보유한 반장 민소희 역의 곽선영의 팀 플레이가 돋보인다. 더불어 배우 허성태·이호철·문희 등이 각자 개성이 뚜렷한 캐릭터를 연기하며 유쾌한 케미스트리를 선사한다.

매회 다뤄지는 다양한 교통범죄와 관련된 상식과 관련 법률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 ‘경찰서 사람들’ 에필로그도 눈에 띈다. 귀에 너무나도 익숙한 시그널로 시작하는 국민 프로그램 ‘경찰청 사람들’을 패러디한 이 코너는 ‘크래시’ 출연 배우들이 돌아가며 등장, 쏠쏠하게 유익한 정보를 전파하고 있다.

1회에서 곽선영은 보복 운전을 키워드로 “상대차 잘못을 되돌려주겠다고 가볍게 생각했다간 보복 운전 가해자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법적으로 차량은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흉기이기 때문에 협박, 폭력 등으로 처벌받을 수 있음을 강조했다. 또한 보복운전 피해를 당했을 경우 “절대로 창문을 열지 말고 경찰에 신고하기, 이럴 때를 대비해 블랙박스 음성 기능 켜두기”라는 피해 방지 정보까지 덧붙였다.

2회에서는 TCI가 해결한 보험금을 노린 노인 연쇄살인사건이 ‘경찰서 사람들’을 통해 실화였음이 밝혀져 더 큰 파장을 일으켰다. 키워드는 ‘형사합의지원금’. 사건 해결의 물꼬를 텄던 차연호 역의 이민기는 지난 2007년, 실제 있었던 사건을 극화했다는 사실과 함께, 해당 사건이 운전자가 합의금 차액을 노리고 고의 사고를 내는 비슷한 방식의 보험사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법률 개정까지 이끌었다는 내용을 전했다. “형사 합의 지원금을 노린 범죄, 더 이상 가능하지도, 꿈꾸지도 말아야 한다”라는 마지막 일침은 혹여 드라마를 보고 해당 범죄를 악용할 가능성까지 꽉 막으며 시청자들의 호평을 받았다.

지난 4회에서는 전동 킥보드로 사람을 치고 도주한 범인(이상진)과 TCI의 추격전이 벌어졌다. 체포된 그는 “내가 왜 뺑소니냐”라는 의문을 제기했고, 민소희는 “현행법상 전동킥보드는 원동기장치 자전거로 분류된다. 즉 오토바이와 똑같다”고 따끔하게 일러줬다. 이날 ‘경찰서 사람들’엔 자동차 스페셜리스트 우동기 역의 이호철이 전동킥보드를 타고 등장했다. 세트장에 들어선 그에게 “대본 다 외웠냐”고 묻는 스태프의 현실(?)적 질문은 깨알 웃음을 선사했다.

이어 이호철은 도로에 갑자기 툭 튀어나와 운전자들을 놀라게 하는 전동킥보드를 고라니에 빗대 붙여진 별명 ‘킥라니’를 설명하며, 전동킥보드 이용 시 꼭 알아야 할 철칙을 소개했다. 16세 이상 원동기 면허 이상 소유자만 운행 가능, 역주행 또는 인도 위 달리는 것 절대 금물, 술 마시고 탈 경우 자동차 음주운전과 동일하게 취급, 그리고 인도 위에서 사람을 칠 경우 형사처벌 된다 등이다. 이날 방송 이후 “전동킥보드도 무면허, 음주운전, 뺑소니 등의 처벌 대상이 된다는 걸 알게 돼 놀랐다”는 시청자 반응이 속속 게재됐다.

이처럼 ‘경찰서 사람들’은 드라마 최초로 다뤄지고 있는 ‘크래시’의 교통범죄가 평범한 우리의 일상에 얼마나 밀접하게 맞닿아 있는지 보여줬다. 이에 재미-정보- 의미까지 다 잡은 일석삼조 코너로 떠오르며 회를 거듭할수록 기대가 증폭되고 있다. 무엇보다 ‘크래시’는 이미 첫 방송 전부터 포스터와 영상을 통해 교통안전 캠페인을 진행해왔던 바. 방송 이후에도 교통안전 의식 고취 메시지를 이어가는 선한 영향력으로 드라마의 진정성까지 더했다는 평을 얻고 있다.

‘크래시’ 상승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4회에서는 이민기가 교통사고 가해자였다는 충격적인 사실과 함께 예상치 못한 인물들 간 연결고리가 드러나, 10년 전 사고의 또 다른 진실에 대한 의문이 폭발했다.

‘크래시’는 매주 월, 화 밤 10시 ENA에서 방송되며, 지니 TV, 지니 TV 모바일에서도 동시 공개된다.

지동현 기자 ehdgus1211@sportsworldi.com

ⓒ 스포츠월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