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이슈 물가와 GDP

고환율에 먹거리 물가 '들썩'…식품업계, 희비 엇갈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달러 환율, 18일 오후 기준 1374원 안팎

환율 오르면 원맥(밀가루)·원당(설탕) 수입 가격↑

해외 매출 비중 높은 삼양식품은 고환율 덕 볼 듯

아주경제

롯데, 코코아 가격 급등에 초콜릿 제품 가격 인상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18일 롯데웰푸드가 코코아 가격 급등을 이유로 다음 달 1일부터 대표 초콜릿 제품 가나초콜릿을 200원 올리고, 빼빼로 가격을 100원 올리는 등 초콜릿이 들어가는 17종 상품의 평균 가격을 12% 인상하기로 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롯데의 초콜릿 제품들. 2024.4.18 scape@yna.co.kr/2024-04-18 14:34:20/ <저작권자 ⓒ 1980-2024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저작권자 ⓒ 1980-2024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에 육박하면서 식품업계 부담감이 커지고 있다. 고환율이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을 부추겨 제품 가격을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18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식품 기업들이 환율 상승(원화가치 하락)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국내 식품 기업은 원재료 수입 의존도가 높은 만큼 환율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16일 장중 1400원을 돌파했다가 18일 오후 1374원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다.

먼저 환율이 오르면 라면이나 빵, 과자에 들어가는 원맥(밀가루)과 원당(설탕) 수입 가격이 상승한다. 즉 환율 상승으로 제품 가격까지 덩달아 오를 수 있는 상황이다.

또 환율이 오르면 식품기업 실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가루와 설탕, 식용유 등을 생산하는 CJ제일제당은 지난해 원당 매입 비용으로 8558억원을, 원맥을 사들이는 데는 3313억원을 썼다. 식용유 등을 제조하는 데 사용하는 대두 매입 비용은 1조1430억원이었다.

원재료 수입 가격이 오르면 제품 원가 압박은 커질 수밖에 없다. 보통 식품기업은 원재료 재고를 3~4개월치 저장해둔다. 하지만 고환율 상황이 계속될 경우 비용 부담은 높아진다.

CJ제일제당은 사업보고서에서 지난해 기준 원·달러 환율이 10% 오를 경우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세후 이익이 182억원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CJ제일제당은 해외 식품 매출이 5조원을 넘길 만큼 해외 사업 비중이 커 해외 식품 판매로 원재료 수입 비용 상승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반면 내수 비중이 높은 기업은 환율 상승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 예를 들어 오뚜기는 고환율 사태가 이어질 경우 매출·영업이익 등 사업계획을 조정해야 할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오뚜기 측은 "사업계획을 환율 1300원대 중반을 기준으로 세웠는데 지금은 1400원에 가깝다"며 "환율 상승을 반영해 영업이익과 매출 목표를 조정하는 등 사업계획을 조정해야 할 것 같다"고 전했다.
아주경제

라면 고르는 시민들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9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 라면 판매대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2024.4.9 ryousanta@yna.co.kr/2024-04-09 14:41:30/ <저작권자 ⓒ 1980-2024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저작권자 ⓒ 1980-2024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처럼 식품업계에 고환율은 달갑지 않은 상황. 하지만 해외 매출 비중이 높은 삼양식품은 고환율 덕을 볼 것으로 보인다. 삼양식품의 지난해 해외 매출은 8093억원으로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8%로 늘었다. 삼양식품은 사업보고서에서 원·달러 환율이 10% 오르면 세후 이익이 61억원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삼양식품은 모든 수출 물량을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다. 수출 제품은 달러로 대금을 받아 환율 상승에 따른 반사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셈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원재료 재고를 수개월치 보유하고 있어 고환율에 따른 영향은 당장 나타나고 있지 않지만, 이 같은 고환율 사태가 이어지면 비용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아주경제=홍승완 기자 veryhong@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