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조정폭은 팬데믹 이전과 큰 차이 없어
소비자 민감도 고려해 폭 보다는 인상 빈도 높여
고물가 지속·다양한 충격 예상…"물가경계감 유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우리 기업들의 가격 인상 빈도가 크게 늘어났지만 가격 조정폭은 팬데믹 이전과 큰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 시기에 소비자 민감도를 고려해 폭 보다는 잦은 가격 인상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고물가 상황에서 새로운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의 변동 폭이 물가안정기 대비 더욱 커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 행태 변화의 특징과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가격조정 빈도(인상·인하 빈도, 할인 등 일시적 조정 제외)는 월평균 11% 수준(2018~2021년)에서 팬데믹 이후 고인플레이션 기간(2022~2023년) 15.6%로 큰 폭 상승했다. 평균적인 상품가격 유지 기간이 약 9.1개월에서 6.4개월로 단축된 것으로 1년에 1.2번 바꿨던 가격을 1년에 2번 이상 바꾼 것이다.
특히 비용 압력이 높았던 품목을 중심으로 조정 빈도가 증가했다. 할인 등 일시적 가격 조정이 잦았고 동일 상품에 대한 판매처별 가격 편차가 확대됐다. 아울러 유가 상승과 같은 큰 충격이 발생하거나 여러 복합적인 충격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이 일반적인 상황에서와는 달리 빠르게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상승률이 4~5%대로 높은 때는 동일한 비용 충격에도 인상 빈도가 늘어나면서 충격이 물가로 빠르게 전이됐다.
반면 인하빈도와 가격조정폭(인상·인하율)은 흐름에 변화가 없었다. 한은은 고물가 시기 기업들이 가격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저항과 경쟁품 대체효과 등을 고려해 가격인상시 '폭'보다는 '빈도'를 조정한 것으로 해석했다.
이동재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 과장은 "가격 인상 빈도를 높이는 동시에 재고 상황과 고물가로 인한 수요 변화에 따라 일시적 조정을 활용했다"면서 "최근에 수입원자재 가격 상승했는데 이걸 과거 대비해서 보니 많이 인상된 품목들은 비용인상 압력이 높은 품목 중심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한은이 한국소비자원의 생필품가격 데이터를 활용하여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의 미시적 가격조정행태의 특징과 그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다. 한은은 앞으로 분절화, 지정학적 갈등, 기상이변 등 크고 다양한 충격이 빈번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는 점을 감안해 물가경계심을 상당 기간 이어가야 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최근과 같이 물가가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당폭 상회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 안정기 대비 더욱 커질 수 있다"면서 "향후 물가 상황 판단시 기업의 가격조정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주경제=서민지·장선아 기자 vitaminji@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