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옥수수 등 고점 대비 반 토막
국내 식품 가격은 오히려 올라
작황 부진 과일과 인플레 주도
3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지난해 12월 119.1에서 올해 1월 118.0으로 1.1포인트 떨어졌다. 앞서 이 지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직후인 2022년 3월 역대 최고치인 159.7을 찍은 뒤 하락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지수를 구성하는 5개 품목(곡물·유지류·육류·유제품·설탕) 가운데 곡물과 유지류 가격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곡물과 유지류 가격지수는 2022년 고점 대비 각각 25%, 30% 내려 글로벌 식료품 원가 하락을 이끌었다.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곡물가격지수도 2022년 중순 730선을 훌쩍 웃돌았다가 현재는 절반 수준인 390선으로 떨어졌다.
개별 품목별로는 곡물가 하락세가 더 뚜렷하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BOT) 선물 시장에서 밀의 1부셸(27.2㎏)당 가격은 2월 평균 5.84달러로, 2022년 5월 11.46달러의 절반 수준이다. 같은 기간 옥수수 가격도 부셸당 7.84달러에서 4.27달러로 45.5% 떨어졌다.
이처럼 주요 식료품의 원재료 가격이 내려가고 있지만, 국내 소비자들의 체감물가는 여전히 높다.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따르면 곰표 밀가루(중력다목적용·이하 100g)은 지난달 198원으로, 2022년 5월 154원보다 44원 올랐다. 같은 기간 백설 소면은 353원에서 379원으로, ‘옛날국수’ 소면은 405원에서 452원으로 각각 26원, 47원씩 올랐다.
식료품 가격 상승에 ‘장바구니 물가’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1월 식료품 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6.0% 상승하면서 넉달째 6%대 오름세를 이어갔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폭(2.8%)의 두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작황 부진과 맞물린 사과·배 등 과일값 강세와 함께 식료품 인플레이션을 주도했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