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물가와 GDP

고물가에 지갑닫은 서민층…고소득층 소비 8.0% '껑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작년 4분기 가계 소비지출 5.2% 증가 속 하위20%만 '마이너스'

분배지표 소폭 개선…소득격차 5.53배→5.30배 축소

연합뉴스

지갑을 열기 위해서는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박재현 박원희 기자 = 소득상위 20% 가구의 소비 지출이 큰 폭으로 늘었지만, 하위 20% 가구는 오히려 지출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서민층부터 허리띠를 졸라맨 모습이다.

각종 연금과 사회수혜금, 연말정산 환급금 등이 포함된 공적 이전 증가의 영향으로 분배지표는 소폭 개선됐다.

연합뉴스

[그래픽] 소득 5분위별 월평균소득·가계지출 현황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 소비 줄인 서민 가구…월평균 29만원 '적자 살림'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소득하위 20%(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7만 8천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5% 증가했다.

근로소득(1.6%)과 이전소득(9.0%)은 증가했지만, 사업소득(-7.4%)과 재산소득(-5.2%)은 감소했다.

처분 가능 소득 또한 99만1천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0% 늘었다.

이처럼 소득과 소비 여력이 늘었지만, 실제 소비는 오히려 줄어들었다.

1분위 가구의 가계지출은 147만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5% 감소했다.

1분위의 비소비지출(이자비용, 사회보험료, 조세 등)은 7.4% 늘었고, 소비지출이 -1.6% 감소했다. 소비지출을 품목별로 보면 교육 지출이 52.4% 감소해 가장 많이 줄었고, 가정용품·가사서비스(-14.6%)와 주류·담배(-11.4%) 등도 감소 폭이 컸다.

전체 소득분위 중 4분기 가계지출이 감소한 분위는 1분위가 유일했다. 소비지출이 감소한 것도 1분위뿐이었다.

평균 소비성향 또한 129.4%로 전년 동기보다 7.3%포인트(p) 줄었다.

1분위 가구는 월평균 29만1천원의 적자 살림을 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적자액은 29.4%였다.

연합뉴스

[통계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고소득 가구는 소득·지출 동반 증가…공적 이전 55% ↑

고소득 가구인 5분위 가구의 4분기 월 평균 소득은 1천80만4천원으로 전년 동기보다(3.6%) 늘었다.

특히 공적 이전이 전년 동기보다 55.3% 증가했다. 지난해 새로 도입된 부모 급여 등 정부 정책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가계지출은 721만7천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8.0% 늘어 모든 분위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오락·문화 지출이 23.1% 증가했고 주거·수도 광열(20.8%), 가정용품·가사서비스(17.4%)의 지출 증가 폭도 컸다.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849만8천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5% 늘었다. 평균소비성향은 57.8%로 2.9%p 상승했다.

연합뉴스

[통계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상·하위 소득격차 5.53→5.30배…"정부 정책 효과"

1분위 처분 가능 소득이 5분위 처분 가능 소득보다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분배 지표는 소폭 개선됐다.

4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30배로 1년 전(5.53배)보다 축소됐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을 가구원 수로 나눈 후 상위 20%의 소득이 하위 20%의 몇 배인지를 보는 지표다.

통상적으로 배율이 작아진다는 것은 빈부 격차가 줄어든다는 것으로 분배의 개선을 의미한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공적 이전이 모든 분위에서 고루 증가하면서 전체적인 분배 지표가 개선됐다"며 "(분배 개선을 위한) 정부 정책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trauma@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