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산 수산물 /로이터=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원전) 운영사 도쿄전력이 원전에 저장한 오염수(일본은 처리수라 부름)의 1차 방류를 완료하고 2차 방류를 앞둔 가운데 러시아가 일본산 수산물 수입금지를 검토한다.
2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규제당국은 일본의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와 관련 중국과 함께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에 동참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고, 해당 문제와 관련 일본과 대화를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로셀코즈나드조르 통계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러시아의 올해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은 118톤(t)이다. 지난해 수입량은 190t이었다. 러시아 정부는 "후쿠시마 제1 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가 시작된 지난 8월 24일부터 오염된 식품이 러시아로 들어오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며 일본에서 수입되는 수산물에 대한 검사를 이미 강화했다고 강조했다.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은 "러시아 측은 이미 일본 측에 해당 문제에 관한 협의 개최를 요청했고, (러시아로) 수출되는 수산물의 (방사능) 오염 여부를 측정하는 방법 등 관련 정보를 10월 16일까지 제공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이어 "러시아는 일본과 가까운 극동지역에서의 어업 활동이 활발해 일본의 처리수 방류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러시아 수산청에 따르면 러시아는 지난해 전체 어획량의 절반 정도인 61억달러(약 8조2350억원) 상당의 수산물 230만t을 수출했다. 최대 수입국은 중국, 한국, 일본이었다. 로이터는 러시아의 일본산 수산물 수입금지 검토를 두고 "러시아가 (일본의 오염수 방류를) 이용해 중국 수산물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일본 정부는 러시아와 중국의 일본산 수산물 금지가 과학적 증거를 뒷받침하지 않는다고 반발했다. 25일 일본 환경성은 지난 19일에 채취한 후쿠시마 원전 주변 바닷물을 분석한 결과 11개 채취 지점 모두에서 삼중수소(트리튬) 농도가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며 "(오염수 해양 방류가) 인체 건강과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한편 도쿄전력은 지난달 24일 방류를 시작해 이달 11일 1차 방류를 종료했다. 1차 방류분은 총 7800t이었다. 도쿄전력은 오염수의 방사성 물질 농도 확인, 설비점검 등을 거쳐 이르면 이달 말부터 2차 방류분 7800t을 바다로 내보낼 계획이다.
정혜인 기자 chimt@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