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4 (토)

'PD수첩' 노숙인 수용시설 실태 취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BC뉴스

사진제공 : MBC [반응이 센 CBC뉴스ㅣCBCNEW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CBC뉴스] "중학교 2학년 여름방학이었는데, 어머니가 일하러 나가시는 모습을 봤습니다. 제가 엄마! 하고 큰 소리로 부르니까 엄마가 뒤를 쳐다보시더라고요, 저희 있는 데를..." - 임경애 아들 오충빈

1983년 여름. 복도 난간 창밖으로 고개를 내민 소년(오충빈 씨)은 미용실로 출근하는 엄마(임경애 씨)를 향해 손을 흔들었다. 엄마도 소년을 향해 손을 흔들었다. 그게 마지막이었다. 날이 흐르고 달이 바뀌어도 엄마의 퇴근은 소식이 없었다. 어느 날부턴가 할머니는 명절 차례상에 딸 몫의 숟가락을 올렸다. 소년은 엄마를 가슴에 묻은 채 어른이 되었다.

그렇게 24년이 지난, 2007년 5월. 뜻밖의 엽서 한 통이 날아왔다. 발신지는 경기도 용인 소재의 노숙인 수용시설, '서울시립 영보자애원'. 엄마를 모시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집으로 돌아온 엄마는 다시 만난 아들을 보고도 표정이 없었다. 복수 찬 듯 불러온 배, 몇 개 남지 않은 치아, 지적장애 증세… 온몸이 망가져 집으로 돌아온 엄마는 대소변조차 제대로 가리지 못해 늘 기저귀를 차고 있어야 했다.

가족을 찾기 전까지 임경애 씨가 머물렀던 마지막 장소, '서울시립 영보자애원'. 이곳에는 80년대 중반, 서울시립 남부부녀보호지도소에서 전원 되어 온 이들이 많다. 2017년 이곳을 방문한 민간조사원들. 이들은 서울시 노숙인 생활시설 인권실태조사를 위해 각각 10여 명의 생활인을 인터뷰했다.

"어떻게 해서 오게 됐습니까? 충격적인 얘기를 하는 거예요. '끌려왔다'는 거예요." - 2017 서울시 노숙인 생활시설 인권실태조사 민간조사원 박병섭

박병섭 씨를 비롯한 민간조사원들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생활인 중 자진 입소자는 12%에 불과. 나머지 88%는 입소 경위를 잘 기억하지 못하거나 경찰 등에 의한 강제 입소자였다 답변했다. 박 씨는 이 같은 조사 결과에도 불구하고 서울시가 보건복지부에 인권침해 '특이사항 없음'으로 보고했음에 의아함을 표했다. 9월 8일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는 '여성 수용시설 인권침해사건'에 대한 조사개시를 결정했다.

"제가 물어봤어요, 왜 집에 안 왔냐고, 그러니까 자기를 잡아갔다는 거예요." - 임경애 동생 임정애

"어차피 정부도 복지라는 이름을 내걸고 그 사람들을 치우고 싶은 거잖아요." - 동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남찬섭 교수

임경애 씨뿐만이 아니다. 잘 알려진 형제복지원 외에도 서울시립갱생원, 동부여자기술원, 서울시립 남부부녀보호지도소 등 1970~80년대 급증한 노숙인 수용 시설들. 그 무렵 거리에는 아무도 모르게 사라진 사람들이 많았다. 어느 날 갑자기 영문도 모른 채 끌려간 사람들. 그들이 붙잡힌 이유는 무엇일까? 그들을 끌고 간 이들은 누구일까?

▶한번에 끝 - 단박제보 ▶비디오 글로 만드는 '비글톡'



CBC뉴스ㅣCBCNEWS 박은철 기자 press@cbci.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