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2 (일)

이슈 축구 해외파 소식

인천구장 ‘논두렁 잔디’…기성용 “원정 때마다 부상 두렵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지난 2020년 인천 원정 경기 도중 무릎을 다친 기성용. [사진 프로축구연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항상 인천 원정을 갈 때면 부상과 경기 걱정을 하게 된다. 여름이든 겨울이든 경기장 잔디 상태가 정말 좋지 않다. 선수들은 부상에 노출되고, 경기력도 아쉬울 수밖에 없다.”

프로축구 FC 서울의 베테랑 미드필더 기성용(33)은 지난달 26일 인천전용구장에서 열린 인천 유나이티드와 K리그 2라운드 원정경기(1-1무)를 마친 뒤 소셜미디어에 그라운드 상태를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 이날 기성용은 그라운드가 울퉁불퉁해 볼 컨트롤에 여러 차례 애를 먹었다. 경기 도중 그라운드를 강하게 걷어차는 동작으로 불만을 드러냈다.

기성용은 지난 2020년 인천 원정경기 도중 잔디가 움푹 팬 부분에 걸려 넘어져 출전한 지 17분 만에 무릎 부상으로 교체됐다. 이후 인천전용구장 그라운드 상태에 대해 직·간접적으로 꾸준히 문제점을 지적해왔다. 또 한 번 작심 비판을 한 건 부상 이후에도 이렇다 할 변화가 없는 잔디 상태에 실망한 때문으로 보인다.

홈팀 인천도 개선 필요성을 인정했다. 구단 관계자는 “2012년 개장 이후 잔디 상태에 대한 불만이 끊이지 않는다”면서 “그라운드 주변 통풍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다 보니 보수를 해도 잔디가 깊이 뿌리내리지 못한다”고 밝혔다. 인천 구단만의 문제는 아니다. 이른바 ‘논두렁 잔디’라 불리는 열악한 그라운드 컨디션은 K리그의 성장 발전을 저해하는 고질병으로 여겨져 왔다.

중앙일보

지난달 26일 누런 잔디 위에서 경기하는 인천-서울 선수들. [사진 프로축구연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기후와 잘 맞지 않는 잔디의 특성에서 근본적 원인을 찾는다. 흔히 ‘축구장 잔디’라 부르는 양잔디(켄터키블루그래스)는 표면이 부드럽고 생육이 빠르지만, 고온다습한 여름과 영하 5도 이하로 내려가는 추운 겨울에 취약하다. 경기장 설계 당시 미관에 치중하느라 그라운드 일조량과 통풍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점, 대부분의 K리그 경기장이 부가 수입 창출을 위해 콘서트·종교집회·지자체 행사 등 다른 용도로 자주 사용되는 점도 문제다.

올 시즌의 경우 11월 개막하는 카타르월드컵을 고려해 K리그 개막을 2월로 앞당긴 게 그라운드 환경이 일찌감치 나빠진 원인이다. 그라운드는 딱딱하고 잔디는 충분히 뿌리내리지 못했다. 선수들 사이에선 ‘부상주의보’가 나온다.

해결책은 적극적인 투자와 관리다. 축구계 관계자는 “골프장과 축구장은 같은 잔디를 쓴다”면서 “무조건 기후 탓으로 돌리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구단과 경기장 운영 주체의 의지도 중요하다. 지난해까지 ‘논두렁’이란 비난을 받던 FC서울 홈구장 서울월드컵경기장은 지난해 말부터 대대적인 그라운드 보수 작업을 진행해 재개장을 눈앞에 두고 있다. 서울시설공단은 천연잔디 사이사이에 국제축구연맹(FIFA) 인증을 받은 인조잔디를 섞어 배치하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변화를 시도했다. 이에 앞서 여러 품종의 잔디를 경기장 인근에 심어 생육 상태를 꾸준히 관찰하며 ‘한국형 잔디’를 찾기 위한 노력도 병행했다.

FC서울 관계자는 “오는 19일 김천상무와 올 시즌 첫 홈경기를 앞두고 완벽한 그라운드 상태를 선보이기 위해 막바지 작업이 한창”이라면서 “강풍기와 채광기 등 잔디 생육에 도움 되는 장비도 갖췄다”고 설명했다.

송지훈 기자 song.jiho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