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이슈 '오미크론' 변이 확산

'오미크론 확산' 남아공 하루 1만명 확진…감염재생산 역대최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증상은 주로 경미…"델타 때보다 입원율도 하락"

학계 "위중증 위험도 2주 더 지켜봐야" 신중론도

헤럴드경제

남아공 오미크론 변이 급속 확산 '1만명대'[출처: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인 오미크론이 주도하는 하루 신규 확진자가 1만 명을 넘어섰다.

기존 지배종인 델타 변이보다 전염성이 훨씬 강하다는 진단이 나오는 가운데 아직은 위중증이나 사망 위험도가 부각되지는 않고 있다.

3일(현지시간) 현지 매체와 외신에 따르면 남아공에서 진원지인 수도권 하우텡주의 감염재생산지수는 2.33으로 역대 최고이다. 감염재생산지수는 한 사람이 감염시킬 수 있는 수치로 한 사람이 2.33명을 감염시킬 수 있다는 얘기다.

2일 남아공 전국 신규 확진자는 1만1535명으로 남아공이 오미크론 변이 경보를 울린 한 주전과 비교해 5배나 많은 수치다.

대부분이 수도 프리토리아와 경제 중심지 요하네스버그가 자리한 하우텡에서 발생하는 만큼 이번 주말까지도 하루 신규 확진자가 1만 명 이상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변이의 전파 속도가 빨라 앞으로 수 주간 높은 확진자 증가세를 유지할 것이라면서, 12월 둘째 주에 정점을 찍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 같은 폭발적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오미크론 변이의 증상은 대체로 경미하다는 것이 의료 전문가들의 평가다.

이날 남아공 일간 더시티즌 보도에 따르면 입원률이 델타 변이가 주도한 3차 유행 때보다 훨씬 더 낮다는 분석도 지역 차원에서 나오고 있다.

메리 카웡가 하우텡주지사 코로나19 자문위원은 "하우텡주에서 주간 9천명 신규 확진자가 발생할 때 주간 신규 입원자는 5천778명이었다"며 "지금 주간 신규확진 9000명 수준에서 주간 신규 입원자는 418명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카웡가 자문위원은 "우리는 이 같은 이유로 백신이 효과를 내고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다만 초기 증상이 경미할 뿐 오미크론 변이의 심각성 여부를 판단하기에 아직 이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립전염병연구소(NICD)의 보건감시 담당인 미셸 그룸은 바이러스의 속성상 앞으로 두 주간은 더 심한 증세로 발전할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하우텡에서는 지나 3주간 확진자가 재급증 추세를 보인 가운데 처음에는 20대 등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감염됐다면 이제는 5세 이하 아동과 60대 이상 고령자로 번지는 양상이다.

5세 이하는 60대 이상 고령자 다음으로 신규 확진자 발생이 높다고 NICD의 와실라 자사트가 밝혔다.

이에 따라 4세 이하 영유아를 위한 아동 병상을 마련해야 한다는 경고도 나왔다.

다만 영유아가 입원한 며칠 동안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한 경우는 별로 많지 않다는 일선 조사결과도 있다.

조 파흘라 남아공 보건부 장관은 현재 추세대로라면 연말 축제 시즌에 봉쇄조치를 더 강화하지 않고도 지낼 수 있다면서, 단 백신 접종을 서둘러달라고 촉구했다. 남아공 성인의 접종 완료율은 36%다.

그는 또 4차 유행에 진입하고 있지만, 아직 감염자 급증 사태가 병원을 위협할 정도는 아니라면서 패닉에 빠질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확진자 급증에 따라 남아공에선 수능시험을 마친 고3 학생들이 참여하는 축제가 잇따라 취소되고 일부 프로축구팀은 선수 집단 확진으로 경기를 치를 수 없다며 협회 측에 경기 연기를 요청하기도 했다.

남아공에서 정치적 영향력이 큰 노조 연합도 과거 봉쇄조치 강화 기간 일자리 200만 개가 사라진 만큼 오미크론 출현에 국내 봉쇄 강화로 가기보다는 백신 접종 의무화를 지지하는 방향을 더 선호했다.

남아공은 내년 초 백신 접종 의무화 도입을 검토하는 가운데 가장 큰 보험사 그룹인 디스커버리는 직원들에게 이미 접종을 의무화해 최근 백신 접종률이 오르는 데 한몫하기도 했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 연구진 450명이 오미크론 변이를 배양해 실험하는 등 분석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이르면 수일 내로 그 결과가 나올 것으로 내다봤다.

onlinenew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