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30 (화)

[생생확대경]동계올림픽 치른 나라가 스피드스케이트장 사라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스타in 이석무 기자] 평창동계올림픽을 개최한 대한민국에 국제규격의 스피드스케이트 경기장이 없다?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지만 곧 일어날 미래이다. 2024년에는 현재 한국 스피드스케이트의 성지인 태릉국제스피드스케이트장이 철거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태릉스피드스케이트장은 대한민국 동계스포츠의 살아있는 역사다. 동시에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400m 스피드스케이팅 트랙을 갖춘 빙상장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경기장은 이미 10여년 전부터 철거 위기에 몰려 있다.

유네스코는 지난 2009년 ‘조선 왕릉’인 조선 13대 왕 명종의 어머니 문정왕후가 잠든 ‘태릉’과 명종·인순왕후를 합장한 ‘강릉(康陵)’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면서 왕릉 보존을 위해 훼손 능역을 복구할 것을 문화재청에 권고했다. 대한체육회는 고민 끝에 태릉선수촌 관련 시설물 8개의 문화재 지정을 신청했다. 결국 문화재청은 대한체육회가 요구한 시설물 8개 가운데 4개의 존치를 받아들였다. 하지만 태릉선수촌과 태릉스피드스케이트장은 존치 시설물에서 빠졌다.

태릉선수촌은 이미 대체 시설을 마련했다. 충청북도 진천에 선수촌을 건립해 국가대표 훈련 등의 기능을 모두 이전했다. 오히려 태릉선수촌보다 훨씬 업그레이드 된 시설을 자랑한다. 반면 태릉스피드스케이트장은 그렇지 않다. 경기장을 대체할 새 스케이트장 건설은커녕 대체 부지조차 정하지 못하고 있다.

태릉스피드스케이트장은 예정대로라면 2024년에 태릉선수촌과 함께 철거된다. 그전까지는 스케이트 종목 선수들이 훈련할 새로운 국제 규격의 경기장을 마련해야 한다. 지금 당장 건설에 들어가더라도 2024년까지 완공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물론 국제 규격의 스피드스케이트장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평창동계올림픽이 열렸던 강릉에 있다. 문제는 유소년 스피드스케이트 선수 가운데 70% 이상이 수도권에서 생활한다는 점이다. 태릉스피드스케이트장이 철거되면 이들은 수도권에서 왕복에 최소 4~5시간이 걸리는 거리를 오가며 훈련을 해야 한다. 시간적, 경제적으로 엄청난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아니면 운동을 그만두는 방법밖에 없다.

설상가상으로 강릉스피드스케이트장은 현재 폐쇄된 상태다. 연간 30억~40억원에 달하는 시설 운영 비용에 대한 부담 때문이다. 향후 다시 스케이트장을 열더라도 제대로 지속 운영된다는 보장이 없다. 현실적으로 강릉스피드스케이트장은 태릉스피드스케이트장의 대안이 될 수 없다.

문체부나 대한체육회도 수도권에 국제 규격의 스피드스케이트장을 건설해야 한다는데 공감하고 있다. 대한체육회에서 수도권 내 국제스피드스케이트장 건립사업에 대한 타당성 검사를 진행했고 건립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용역 보고서를 지난해 4월 문체부에 제출했다. 의정부시 등 수도권의 일부 도시들도 국제 규격의 스피드스케이트장 유치 의사를 적극 나타내기도 했다.

하지만 문체부는 1400억원에 달하는 막대한 사업예산과 강릉스케이트장 활용 문제로 최종 결정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 문체부가 기존 태릉스피드스케이트장의 철거 연기를 검토한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그렇다면 지붕에서 물이 새는 등 태릉스피드스케이팅장의 열악한 시설 환경을 하루빨리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라도 기울여야 한다.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가 이어질수록 동계올림픽까지 개최했던 대한민국 동계스포츠는 갈수록 고사 위기에 몰리고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