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스포츠계 사건·사고 소식

프로야구 판정 논란 확산… 심판 서열 문화부터 깨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년차 젊은 심판은 4명만 1군 등록
스트라이크 0.3~0.4초 만에 판정해야
고참 심판 ‘시력 감퇴’ 변수 무시 못 해
서울신문

두산 베어스 최원준이 지난 5일 서울 잠실 구장에서 열린 LG 트윈스와의 개막전 8회 말 LG 이천웅에게 던진 초구는 방송사 중계화면상 스트라이크존에 들어오지 않았지만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았다.SBS 중계방송 화면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의 이용규가 심판의 스트라이크존에 일관성이 없다고 호소한 뒤 한국야구위원회(KBO)가 해당 심판조를 강등시키며 미국에서도 KBO의 대처가 화제가 된 가운데 일각에선 심판진의 서열 중심 문화를 탈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베테랑 심판의 경험도 무시할 수 없지만 심판의 기본 역할인 스트라이크·볼, 아웃·세이프 판정 등은 빠른 눈과 판단력과 같은 신체적인 능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10일 2020시즌 개막 기준 1군, 퓨처스리그 심판 명단을 보면 1군 심판은 연공 서열 중심으로 편성돼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1992년 입사해 1군 최고참인 나광남 심판을 비롯해 1990년대 입사한 14명 전원이 1군 경기를 맡고 있다. 이 밖에 2000~2009년 입사한 13명, 2010년 입사한 4명이 1군 심판으로 등록돼 있다. 반면 퓨처스리그는 2006년 입사한 황인태 심판이 최고참이고 전체 21명 중 2010년 이후 입사자는 19명에 달한다.

프로야구는 0.3~0.4초 사이에 투수의 공이 포수 미트에 꽂힐 만큼 찰나가 지배하는 스포츠다. 그만큼 시력이 중요하고 나이 변수도 무시할 수 없다. 실제 지난해 미국 보스턴대가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08~2018년 메이저리그 심판 스트라이크콜의 정확도에서 최상위 10명의 경력이 평균 2.7년에 달하는 젊은 심판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하위 10명은 평균 20.6년의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심판들에게도 에이징커브가 있다는 게 통설이다.

KBO는 3년차까지는 2군에서 기본기를 배우고, 이후 판정 기량이 월등하면 1군으로 승격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 놓고 있지만 젊은 심판들의 1군 진입은 어려운 게 현실이다. 물론 양팀의 신경전이 치열하게 벌어지는 상황에서 젊은 심판이 야구계 선배인 선수·감독들을 조율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일 수 있다. 그러나 심판 판정이 정확하면 항의도 적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심판진도 ‘경험과 연차’만 중시하기보다는 ‘판정 능력’에 기반해 보다 과감한 경쟁을 이끌어 낼 필요성이 제기된다. KBO도 이 같은 점을 의식한 듯 지난해 심판승강제를 도입했지만 올해도 기존 관례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허운 심판위원장은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심판은 경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존 1군 심판들이 건강에 이상이 없으면 다음해에도 1군에서 활동한다”면서 “선수들은 한 번에 1군 진입이 가능한 경우가 있지만 심판은 어느 정도 연차가 쌓여야 1군 심판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