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년 전 이맘 때 세계 최초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를 앞두고 기대와 흥분이 넘쳤다. 이보다 앞서 2018년 12월 1일 0시 5G 전파를 성공적으로 발사한 만큼 5G에 대한 자신감이 예사롭지 않았다.
미국 버라이즌의 돌발 행보로 해프닝이 없지 않았지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이통 3사는 애당초 목표대로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했다.
2주일 후인 4월 3일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 1주년이 되는 날이다. 그러나 1주년을 앞둔 5G에 대한 평가는 호의적이지 않다. 당장 5G 불통 지역이 많고 실내에선 끊기는 경우가 다반사라며 '무늬만 5G'라는 불만이 적지 않다. 이용자가 체감하기에 5G 초고속·초연결·초저지연은 딴 세상 이야기라는 말도 회자된다.
이뿐만 아니라 5G 요금과 단말이 비싸다는 목소리도 비등하다. 가상현실(VR)·증강현실(AR)이 5G 전용 콘텐츠냐는 비아냥도 적지 않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5G가 초연결 사회 대동맥이자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라는 문구는 귓등으로도 듣지 않는다. 새로운 시장과 기술 선점이 중요한 시대인 만큼 5G가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것이라는 전망도 아주 먼 나중 일로 치부하기 일쑤다.
이처럼 야박한 평가에 정부와 이통사 모두 서운하겠지만 거부할 수 없는 현실이다.
물론 정부와 이통사도 할 말은 있다. 5G 상용화 시점과 비교해 5G 기지국을 3배 늘렸다. 정부는 5G망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확대, 투자를 독려하고 있다.
이통사는 세계 최초 5G 상용화 이전 선행 투자는 물론 이후에도 투자를 지속했다. 지난해 이통 3사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예외 없이 줄었다. 5G 투자와 마케팅에 적지 않은 비용을 투입했다는 방증이다. 5G 콘텐츠 발굴도 지속하고 있다.
요금제도 다양화하고 있다. 4만원대 청소년 대상 요금제는 물론 3만원대 5G 알뜰폰 출시도 경쟁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정부와 이통사는 세계 최초 5G 상용화 이후 주요 국가와 기관, 각국 통신사가 우리나라 5G 기술력과 노하우를 벤치마킹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5G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는 사실은 애써 저평가하고 있다며 하소연한다.
정부와 이통사가 1년도 채 안 된 5G에 대한 혹평을 고깝다고 치부할 게 아니다. 기존의 저평가를 뒤집기 위한 고언으로 수용하면 된다. 발상의 전환이다.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코로나19로 전 산업의 침체 장기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5G 투자는 지속될 수밖에 없다. 5G가 투자를 지속하는 유일한 분야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와 이통사도 애초 예정한 5G 투자를 앞당기기로 했다. 5G 기지국 설치를 빠르게 늘리고 5G 커버리지를 확충하면 반쪽짜리 5G에 불과하다는 기존 평가는 뒤집을 수 있다.
또 정부가 5G 콘텐츠 개발을 지원할 계획을 수립한 만큼 이용자가 실감할 수 있는 5G 전용 콘텐츠·서비스도 서둘러야 한다. 이통 커버리지 확대와 콘텐츠 증가는 가입자 확대, 요금제 다양화로 이어진다. 이는 2G·3G·4G 등으로 진화 과정에서 반복된, 확인된 사실이다.
상용화 1주년에 즈음해 5G 선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법·제도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과 합리적 망 이용대가 등 5G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제도가 무엇인지 고민할 시점이다. 5G 선점 효과는 정부와 이통사만의 몫이 아니다. 우리 모두의 몫이다. 겨우 5G 1주년이다. 앞으로 1년은 5G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1년이 되길 바란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