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2018~2028년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발표
60세 이상 고령인구가 10년 취업자·인구 증가 견인
서비스업 '쏠림' 심각…무역분쟁·세계경제 둔화 때문
아시아경제DB=김현민 기자 kimhyun8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향후 10년간 서비스업 취업자 수는 145만명 증가하는 가운데 제조업 취업자는 6만5000명 늘어나는 데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10년 후 15~64세 경제활동인구는 70만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고용노동부는 17일 발표한 '2018~2028년 중장기 인력수급전망'을 통해 미래 노동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고 전망치를 제시했다. 이번 발표는 인구증가 둔화와 고령화의 영향으로 60세 이상 고령층이 취업자 수 증가를 견인하고, 보건-복지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서비스업 취업자 수가 늘어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고용부 전망에 따르면 급속한 고령화로 향후 10년간 60세 이상 인구 증가가 전체 인구 증가를 주도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60세 이상 인구가 505만명 늘어나는 동안 15~64세 인구는 260만명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인구 감소 영향으로 15∼64세 경제활동인구는 약 70만명 줄어든다. 15세 이상 취업자는 앞으로 10년간 128만명 증가하고, 고용률은 0.3%포인트 증가한다. 다만 노인인구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2027년을 기점으로 고용률과 전체 취업자 수가 마이너스로 전환된다는 관측이다. 경제활동참가율은 전 연령대 중에 70세 이상이 가장 많이 증가(4.1%포인트)할 것으로 예상됐다.
제조업 분야 고용 침체가 계속되면서 신규 취업자가 서비스업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10년 동안 제조업 취업자는 6만5000명 증가하는 데 그치는 반면 서비스업 취업자는 145만명 늘어난다. 특히 저출산·고령화 영향으로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 수가 10년 후에는 지금보다 62만명 늘어난다.
디지털화 등 기술발전의 영향으로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과 정보통신업은 각각 15만명, 12만명 증가한다.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증대, 내수시장 확대로 도·소매업(9만명), 숙박·음식점업(13만명)도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 취업자 수 증가가 부진한 데는 무역분쟁, 세계성장률 둔화, 산업 구조조정 등이 원인으로 꼽혔다. 고용 규모가 큰 자동차 산업에서 고작 1만8000명 증가하고,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운송장비 역시 1만1000명 늘어나는 데 그칠 전망이다.
다만 빅데이터 처리용 메모리, 반도체 생산 증가로 전자 업종에서 2만5000명, 보건 수요 확대로 의료·정밀기기(2만8000명), 의료용 물질·의약품(1만3000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학령인구 감소로 향후 10년간 노동시장 신규 인력이 38만5000명 부족해지는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됐다. 고등학교 졸업생은 2018년 57만명에서 2028년 40만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고졸자에 대한 초과수요(공급부족)이 60만명으로 가장 크고, 대졸자도 45만명 초과수요인 반면, 전문대는 기술 발전 등으로 중간 숙련 수요가 감소하면서 64만명 초과공급될 전망이다.
4차 산업혁명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기술발전 속도가 빨라지면 2020년대 후반부터 전체 취업자는 2035년에 기준 전망보다 48만명 추가로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세종=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