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1 (토)

‘구해줘’ 김성수 감독 “‘어깨피라’ 대사, 청춘 향한 응원”(인터뷰③)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스타in 김윤지 기자]“‘고구마’를 드라마로 만들면 이 드라마일 것.” 케이블채널 OCN 주말 미니시리즈 ‘구해줘’(극본 정이도, 연출 김성수)에 따라 붙는 시청자 반응이다. ‘고구마’는 드라마 속 답답한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그만큼 ‘구해줘’는 한적한 소도시에 파고든 사이비 종교 구선원을 통해 암울한 현실을 이야기한다.

반응은 긍정적이다. 1% 시청률에서 출발한 드라마는 3% 시청률을 넘겼다. 평가는 수치적 성과를 넘어선다. 신선한 소재를 흡입력 있게 풀어냈다는 호평이다. 서예지부터 조성하까지 주연 배우들 모두 재발견됐다.

그 중심엔 김성수 감독이 있다. 김 감독은 영화 ‘무명인’(2014), ‘야수’(2006) 등을 연출한 영화인이다. 제작사 히든시퀀스 이재문 대표의 제안으로 합류했다. 영화채널인 OCN이기에 가능한 장르물로서 완성도를 끌어올리기 위함이었다. ‘구해줘’의 영화적 색채는 입소문의 힘이 됐다. 김 감독은 “집에 TV도 없는 사람이 드라마를 만들었다”고 웃었다.

종영을 2회 앞두고 만난 김 감독은 “‘구해줘’에 대한 시청자의 반응에 감사하다”면서 “‘구해줘’를 통해 청춘의 연대를 말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인터뷰②에서 이어)

―상환(옥택연 분)은 동철(우도환 분)에게 “어깨 피라”고 반복해 말한다. 원작에는 없는 대사다.

△영화 ‘범죄와의 전쟁’의 “살아 있네~”처럼 ‘구해줘’를 대표할 만한 대사가 있으면 했다. 젊은 세대가 힘을 냈으면 했다. 또래 친구들끼리 “어깨를 펴라”고 응원해주는, 그런 삶의 긍정성을 말하고 싶었다. 좋아하지 않는 분들도 있어서 어느 순간부터 편집하고 있다.

―‘구해줘’의 답답함은 비겁하거나 나약한 어른들에게서 출발한다. 원작에선 아이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던 이강수 형사(장혁진 분)조차 드라마에선 적극적이지 않다.

△한 나라의 시스템이 망가진 데는 공권력이 일조했다고 생각했다. 말단 경찰부터 형사까지, 이들이 이렇게 될 수밖에 없었던 건지 말하고 싶었다.

―어른들이 구하지 못한 아이들이란 점에서 일부분 세월호를 연상시킨다.

△의도한 부분이다. 하지만 세월호를 떠나서 많은 부분이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젊은 세대가 이런저런 문제들도 힘들어하는데, 나서는 어른들이 없다. 가장 나쁜 것은 그런 문제들을 개인의 문제로 돌리는 시선이라고 생각했다. 상환과 동철이 “어른들이 잘못했다”는 대사를 주고 받는다. 그걸 말하고 싶었다. 나아가 젊은 세대가 연대해 스스로 구할 수 있었으면 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구해줘’에서 가장 나쁜 사람은 누구인가. 사이비 종교의 교주가 된 영부 백정기(조성하 분)인가, 그 뒤에서 이득을 취하는 조 사도(조재윤 분)인가, 현실에서 도망치다 미쳐버린 강 사도(박지영 분)와 상미 부친(정해균 분)인가. 아님 모른척 하는 지역 사람들인가.

△조 사도와 강 사도는 현실에 있을 수 있는 사람들이다. 진짜 나쁜 사람은 백정기다. 자신의 과대망상을 실현하기 위해서 많은 사람에게 피해를 입혔다. 대표적인 XXX다.(웃음) 대국민적으로 나쁜 사람이다. 그런 사람은 옹호할 수 없다. 상미 부친은 측은한 느낌이 든다. 어찌보면 과거의 수많은 부모들의 모습이다. 사이비 조욕에 빠진 전형적인 인물인 동시에 상미 부친의 시선에선 최대한 노력하고 있다. 씁쓸한 부정이다.

―제작 과정에서 단체의 협박은 없었나.

△없었다. 섭섭했다. (웃음) 다행히 그런 일은 없었다. 누군가 항의를 했다면 스스로 사이비 단체라는 걸 인정하는 셈이니까. 특정 단체나 인물을 모델로 했느냐는 질문을 자주 받는다. 없다. 그들의 속성을 섞어서 만들었다. 가끔 댓글 중에 ‘구해줘’를 통해 사이비 단체에 대한 경각심을 느꼈다는 내용을 발견한다. 시사교양 프로그램을 통해 자주 다루는 내용인데, 드라마로 접하면 다른 경험인 것 같다. “자칫 사이비 종교에 빠질 뻔했는데 드라마를 보고 깨달았다”는 글을 봤을 때 뿌듯한 기분이 들었다.

―극중에서 자주 등장하는 회색 봉고차만 봐도 깜짝 놀란다는 반응이 있다.

△실제 그렇기도 하고, 봉고차 자체로 한국적인 그림이다. 상징적인 의미다. 인신매매라든가 그릇된 현실의 모양새를 담고 있는 것 같다.

―결말에 대한 관심이 높다.

△저희만의 방식으로 엔딩을 풀었다. 누군가에겐 통쾌할 수도 있고, 누군가에겐 당황스러울 수도 있다.

<ⓒ함께 만들고 함께 즐기는 엔터테인먼트 포털 스타in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