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코리아 패싱(X)→패싱 코리아(O)…JTBC 대선토론 '콩글리쉬' 두고 네티즌 설왕설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화뉴스

ⓒ JTBC 방송화면



[문화뉴스 MHN 김동민 인턴기자] JTBC 대선주자 토론회에서 언급된 신조어 '코리아 패싱'이 네티즌 사이에서 도마에 올랐다.

지난 25일 JTBC 대선주자 토론회에서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후보는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코리아 패싱이라고 아시냐"고 질문했다. 이에 문 후보는 "모른다"고 답했고, 유 후보는 "(코리아 패싱)은 북한 문제를 둘러싼 국제 논의에서 정작 한국이 소외되는 현상을 말한다"고 말했다.

이날 JTBC 대선토론 방송 이후 온라인 상에서는 '코리아 패싱'이란 단어를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특히 한 네티즌은 "(iemo****)아니 영어좀 하는 분들~~한국 제외시키는 상황이면 패싱 코리아가 맞지 코리아패싱은 완전 콩글리쉬 아닌가요?"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여기에 "(good****) 코리아 패싱은 단어 구성 느낌으로 한국왕따 정도로만 알고 있었다" "(oror****) 코리아 패싱이란 용어가 외교에서 공식으로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다. 외교통들도 외교소외라고 한다"는 등 이런저런 반응이 잇따랐다.

한편 25일 JTBC 대선토론에서 유 후보는 '코리아 패싱'을 언급하며 "오늘도 인민군 창건일인데 (미국이) 황교안 권한대행에게 전화 한 번 안 해주고 이런 문제를 얘기하고 있다"고 문제삼았다.

crooner1@naver.com

<저작권자 Copyright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