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새 사무총장 선출’ 프로야구 선수협, 100억 시대 FA 재구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흥순 기자]100억 원 시대를 연 프로야구 자유계약선수(FA) 시장. 현역 선수들이 주축이 된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선수협)는 보다 발전한 FA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그림을 준비한다.

선수협은 지난 2일 정기총회를 열고 만장일치로 김선웅 변호사(45)를 임기 3년의 신임 사무총장으로 선출했다. 2012년 선수협 사무국장으로 선임된 뒤 야구 규약개정, 초상권 계약, 대리인(에이전트) 제도 등을 담당한 야구계 법률 전문가다. 그는 "불합리한 규약을 개정하고 야구가 진정한 스포츠 산업으로 발전하도록 한국야구위원회(KBO)는 물론 각 구단들과 협력하겠다"면서 FA 제도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고 했다.

아시아경제

최형우 [사진=김현민 기자]


프로야구 FA 시장은 최형우(33)가 KIA 타이거즈와 4년 총액 100억 원에 계약하면서 새 이정표를 세웠다. 1999년 송진우(50)가 3년 7억 원에 첫 FA 계약을 한 뒤 17년 만에 최고액이 열다섯 배 가까이 올랐다. 세 자릿수 몸값은 프로야구의 가파른 성장세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주목받지만 '거품 논란'에 대한 우려도 해마다 불거진다.

A구단 마케팅팀 관계자는 "대부분이 모기업 지원에 의존하고 별다른 수익 기반이 없는 현실에서 선수 몸값에 큰돈을 쓰는 구조로는 공생이 어렵다. 팬 서비스나 시설 확충 등 내실을 다질 여력이 그만큼 줄 수밖에 없다"고 했다.

FA의 제도의 또 다른 고민은 '부익부 빈익빈'. 이름난 A급 선수 한두 명을 제외하고는 자격을 얻은 선수 대부분이 권리를 행사하는데 제약이 많다. 현행 FA는 보상 규정을 두고 있다. FA로 특정 선수를 영입한 구단은 원 소속팀에 그 선수의 전년도 연봉 200%와 보호선수 스무 명을 제외한 한 명을 보상 선수로 줘야 한다. 보상 선수를 내주지 않을 경우 전년도 연봉의 300%를 지급해야 한다. 전력 보강을 원하는 구단에서 투자 대비 출혈이 크다는 이유 때문에 대형 선수를 제외하고 협상에 쉽게 나서지 못하는 걸림돌이다.

김 사무국장은 공급의 부족이 양극화를 초래하는 원인이라고 했다. 그는 "현재 FA 제도는 각 구단의 전력 평준화나 보강에 초점을 두지 않는다. 선수 입장에서도 이적의 자유를 제한하는 불완전한 구조다. 선택지가 좁기 때문에 A급 선수 외에는 이적이 쉽지 않다"고 했다.

선수협은 이 문제를 두고 KBO와 제도 개선에 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팀 내 연봉과 성적을 고려해 시장에 나갈 선수들의 등급을 정하고, 같은 FA라도 등급이 낮은 선수를 영입할 때는 보상 선수를 내주지 않거나 보상금을 낮추는 방향이다. 이호준 선수협 회장(40)은 "등급은 ABC로 나누고 연봉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이 적절하다"고 했다.

김 사무국장은 아홉 시즌(대졸선수 8시즌)을 뛰어야 FA가 되는 현행 자격 취득 기간도 1~2년 정도 단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역시 자격 조건을 완화하고 공급을 확대해 구단과 선수가 선택할 수 있는 폭을 넓히자는 취지다. 그는 "군 복무한 경력이나 부상으로 빠진 일수 등도 FA 자격 취득 연한에 반영해 조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구단 입장에서는 FA 선수에게 지급하는 계약금에 상한제를 둬야 한다는 입장이다. 계약금은 FA 총액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최형우는 KIA와 4년 계약을 하면서 연봉 15억 원, 계약금은 40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4년 총액 96억 원으로 FA 최고 몸값을 기록한 박석민(31ㆍNC)은 계약금으로만 56억 원을 받았다. 계약금은 FA 계약 후 2회(1회는 계약 후 30일 이내, 나머지는 리그 종료 후 30일 이내)로 분할 지급해야 한다. 문제가 생겨도 구단에서 반환을 요구할 수 없다. 선수에게 큰 수익을 보장하는 밑천이다.

김 사무국장은 "FA 제도의 근본적인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면 계약금 지급 조건 등은 구단의 입장을 경청하고 협의해 나갈 수 있는 사항"이라며 "성적이나 변수에 따라 마이너스 옵션을 포함하는 방법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