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신록, 亞주니어 역도선수권 메달 3개 수확…배문수 용상 동메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 국제대회 6년만이자 대회 첫 메달 획득

뉴스1

유소년 남자 61kg급에 출전한 신록 (17·고흥고)이 메달 3개를 목에 걸었다. 2019.10.22/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평양·공동취재단=뉴스1) 황석조 기자 = 남자 역도 기대주 신록(17·고흥고)과 배문수(20·경북개발공사)가 국제대회에서 한국 선수로 6년만에 메달을 땄다.

22일 평양 청춘가역도전용경기장에서 열린 2019 아시아 유소년·주니어 역도선수권대회에서 유소년(17세 이하) 남자 61㎏급 경기에 출전한 신록은 인상 116㎏, 용상 151㎏, 합계 267㎏을 기록했다.

인상은 3위, 용상은 2위, 합계 2위를 각각 기록한 신록은 은메달 2개와 동메달 1개를 목에 걸었다. 이번 대회는 인상, 용상, 합계에 따로 메달을 수여한다.

한국의 이 대회 처음이자 역도 국제대회 6년만의 메달 수확이다.

한국 학생 남자 61㎏ 기록 보유자이기도 한 신록은 우승도 기대할만한 선수로 꼽혔다. 인상 2, 3차시기 120㎏을 연거푸 실패하며 불안하게 출발했다.

그러나 용상에서는 달랐다. 인상에서 한 실수를 만회하며 한때 유소년 세계 기록까지 갈아치웠다. 인상 1위(119㎏)를 차지했던 인도네시아의 무함마드 파티르(16)와 똑같이 용상 1차시기에서 147㎏을 들어올린 뒤, 2차 시기에서 파티르보다 1㎏ 많은 151㎏을 들어올렸다. 경기 시작 전 유소년 남자 61㎏급 용상 세계 기록(149㎏)을 파티르가 150㎏으로 넘어서자, 신록이 이를 다시 1㎏ 늘린 것이다.

다만 파티르가 3차시기에서 153kg을 들어 올려 유소년 세계 기록을 다시 경신한 반면, 신록은 3차시기 154㎏을 들지 못해 용상 2위에 만족해야 했다. 합계에서도 272㎏를 기록한 파티르에 5㎏ 뒤진 2위를 차지했다.

이처럼 신록은 비록 애국가를 울리지는 못했지만, 메달을 따내며 태극기가 경기장에 게양될 수 있게 했다. 2013년 아시안컵 및 아시아클럽 역도선수권 이후 6년여만의 일이다.

경기 후 신록은 "이달 초 치른 전국체전에서의 피로가 아직 가시지 않긴 했지만 금메달을 못 딴 게 아쉽다. 인상에서 자세를 제대로 잡지 못해 좋은 기록이 나오지 못했다"면서도 "대회를 마친 뒤 아쉬움을 털고 앞으로 더 좋은 선수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말했다.

뉴스1

유소년 남자 61kg급 시상식에서 종합 2위를 기록한 신록 선수(뒷줄 왼쪽 둘째)이 시상대에 올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2019.10.22/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니어(20세 이하) 남자 61㎏급에 출전한 배문수도 메달을 보탰다. 배문수는 인상 115㎏, 용상 153㎏, 합계 268㎏을 각각 들어 올려 인상 8위, 용상 3위, 합계 4위를 기록했다. 전국체전부터 앓아온 팔꿈치 통증을 딛고 용상 동메달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뒀다.

신록과 같은 체급에 출전한 조민재(15·전남체중)는 인상 95㎏, 용상 125㎏, 합계 220㎏으로 각 부문 6위에 올라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유소년 여자 49㎏급에 출전한 김혜민(16·김해영운고)은 인상 63㎏, 용상 78㎏, 합계 141㎏로 역시 각 부문 6위를 기록했고, 주니어 여자 49㎏급에 출전한 문정선(20·공주시청)은 인상에서 실격처리 된 뒤 용상에서 87㎏을 들어 5위를 차지했다.

이날 한국 선수들이 출전한 경기는 남측과 북측 선수들과의 대결 양상으로 진행됐다.
결과는 북측 선수들의 승리였다.

주니어 남자 61㎏급에서는 북측 김충국(20)이, 유소년 여자 49㎏급에서는 원현심(17)이 인상 및 용상, 합계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주니어 여자 49㎏급에서는 한정심(19)이 용상과 합계에서 1위를 기록했다.

관중석에서는 남·북 간의 묘한 응원전도 벌어졌다. 대회 관계자들이 주로 관중석에 자리한 가운데 남자 61㎏급 경기 도중 북측 관중 60여명이 경기장을 찾았다. 남측 선수의 순서 때는 소지품을 자리에 놓고 자리를 비웠다가, 기록이 좋은 북측 선수가 경기 후반부에 등장할 때 즈음 다시 경기장에 나타나 기합소리와 함께 우레와 같은 성원을 보냈다.

이들은 신록이 합계 2위를 기록하며 남측의 태극기가 게양된 유소년 남자 61㎏급 시상식 때는 자리를 비웠다가, 북측 선수가 나란히 합계 1,2위를 차지한 주니어 남자 61㎏급 시상식 때는 다시 관중석에 나타나 국가를 제창하기도 했다.
hhssjj@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