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PD수첩' 안인득 사건, 韓 조현병 환자 10만명 시대 대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투데이

안인득 / 사진=MBC PD 수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투데이 이소연 기자] 'PD수첩'에서 조현병 환자들의 연이은 강력사건의 대책을 알아봤다.

21일 오후 방송되는 MBC 시사프로그램 'PD수첩'에서는 '나는 안인득이 아니다' 편이 그려졌다.

지난 4월 17일, 경남 진주에서 아파트에 불을 지르고 주민들에게 무차별적으로 흉기를 휘두른 끔찍한 사건이 일어났다. 이 참극으로 5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다쳤다. 범인 안인득이 검거되고 열흘 뒤, 부산 사하구에서 60대 누나를 살해한 50대 남성이 잡혔다. 이들의 공통점은 조현병을 앓고 있었다는 것.

이날 'PD수첩'에서 프로파일러는 안인득을 두고 "아주 위협적인 행동을 하고도 자기는 아무것도 안 했다고 생각한다. 사회적으로 고립됐다"며 "가족들과 생활하더라도 심리적 거리감을 많이 느낀다. 자신의 의사 표현을 아무도 받아들여 주지 않는다고 뿌리 깊게 생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 세계인구의 약 1%, 국내에서 조현병으로 등록된 환자는 약 10만 명. 조현병 환자의 강력범죄 사건이 연이어 보도되면서 조현병 환자들은 곧 잠재적 범죄자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전체 범죄 중 정신질환자의 강력범죄율은 현저히 낮은 수치다. 조현병(調絃病)은 말 그대로 현악기의 줄을 조율하면 좋은 소리가 나듯이 치료만 잘 받으면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고 한다. 조현병은 파도와 같은 흐름이 있어 급성기 때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환청과 망상 등을 경험한다. 중요한건 초기 치료다. 실제로 환자들이 문제를 일으키는 시기도 대부분 급성기 때라고 한다.

연이은 조현병 환자들의 강력범죄로 한국 사회는 조현병 포비아에 시달리고 있다.

전 세계인구의 약 1%, 국내에서 조현병으로 등록된 환자는 약 10만 명. 조현병 환자의 강력범죄 사건이 연이어 보도되면서 조현병 환자들은 곧 잠재적 범죄자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전체 범죄 중 정신질환자의 강력범죄율은 현저히 낮은 수치다. 조현병(調絃病)은 말 그대로 현악기의 줄을 조율하면 좋은 소리가 나듯이 치료만 잘 받으면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고 한다. 조현병은 파도와 같은 흐름이 있어 급성기 때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환청과 망상 등을 경험한다. 중요한건 초기 치료다. 실제로 환자들이 문제를 일으키는 시기도 대부분 급성기 때라고 한다.

그렇다면 이들은 제대로 치료를 받고 있을까? 'PD수첩'이 만난 조현병 환자들은 정신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기를 꺼려하거나 하고 싶어도 못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실제로 조현병 환자의 상당수가 입원하면서 병을 키워왔다고 했다. 입원치료 방식이 끔찍했고 제대로 된 치료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심지어 2016년 기존의 정신보건법이 정신건강보건법으로 개정되면서 강제입원이 한층 까다로워졌다. 법 개정으로 정작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마저 사각지대에 방치하고 말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당시 보건복지부는 정신질환자들을 병원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돌볼 수 있도록 하는 탈원화(脫院化)를 목표로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준비 없는 탈원화는 오히려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스포츠투데이 이소연 기자 ent@sto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