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한겨레 언론사 이미지

[사설] ‘인적 쇄신’ 빠진 공허한 혁신안 논의조차 회피한 국힘

한겨레
원문보기

[사설] ‘인적 쇄신’ 빠진 공허한 혁신안 논의조차 회피한 국힘

속보
트럼프 "다음주 반도체 관세 설정할 것"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23일 국회 본회의 직후 다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23일 국회 본회의 직후 다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지난 23일 두 차례 의원총회를 열어 ‘윤희숙 혁신안’을 논의했으나 별 소득 없이 끝났다. 첫 의총은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불참해 1시간 만에 해산했다. 두번째 의총에선 윤 위원장이 1호 혁신안인 ‘당헌·당규에 계엄·탄핵 등에 대한 대국민 사죄 명시’만이라도 통과시켜달라고 호소했지만, 흔쾌히 찬성하는 목소리가 없었다고 한다. 계엄·탄핵에 대한 사죄는 국민의힘이 새출발을 하기 위해선 반드시 떼야 할 첫걸음이다. 그러나 이조차도 가로막힌 게 김용태 전 비상대책위원장 때부터 벌써 몇번째인가. ‘인적 쇄신’은 아예 논의 대상에도 오르지 못했다. 도무지 ‘보수 회생’의 희망을 찾아볼 수 없다.

‘송언석 비대위’를 앞세운 친윤석열계 주류의 책임이 크다. 송언석 비대위원장은 원내대표가 되자마자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 등을 담은 ‘김용태 혁신안’을 무산시킨 장본인이다. 안철수 전 혁신위원장의 ‘쌍권’(권영세·권성동) 전 지도부에 대한 인적 쇄신 요구를 거부했고, 윤 위원장의 ‘나윤장송’(나경원·윤상현·장동혁 의원, 송언석 위원장)에 대한 인적 쇄신 요구도 일축한 바 있다. 이날도 첫 의총 무산과 관련해 윤 위원장은 비대위가 자신을 부르지 않아 참석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비대위 쪽은 윤 위원장이 참석 여부를 답변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혁신위원장이 빠진 상황에서 혁신안을 논의하는 의총을 연 것부터가 혁신안을 받을 의지가 없다는 표시 아니고 뭐겠나. 이처럼 모든 혁신안을 부정할 거라면 애초에 혁신위는 왜 만든 것인가.

비대위의 외면 속에 친윤 당권 주자들은 혁신안에 대한 반발을 노골화하고 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23일 “혁신안을 그대로 받으면 국민의힘은 30~40석 이상은 빠져나간다”고 했고, 장동혁 의원은 “혁신이란 이름으로 특정인을 청산하겠다, 사과하겠다면서 당을 내부 싸움터로 돌려놓았다”고 했다. 24일엔 윤상현 의원이 ‘윤 어게인’을 주장하는 전한길씨와의 “절연·단절에 반대한다”며 “‘너부터 책임져’라고 하는 건 혁신이 아니다”라고 했다. 혁신은커녕 ‘탄핵 반대’를 외치던 시절로 퇴행하겠다는 선언과 다를 게 없다. 반면, 한동훈 전 대표는 같은 날 당대표 선거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대로라면 전당대회 전 혁신은 물 건너가고, 영남·강남·극우에 기댄 친윤 기득권 세력은 더욱 기세등등해질 가능성이 크다. 동시에 이미 10%대(24일 전국지표조사 17%)로 떨어진 국민의힘 지지율은 더욱 쪼그라들 수밖에 없다.



▶▶[한겨레 후원하기] 시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