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한국일보 언론사 이미지

[사설] 오송참사 2년, 저지대·반지하 침수 대비 철저히

한국일보
원문보기

[사설] 오송참사 2년, 저지대·반지하 침수 대비 철저히

서울맑음 / 7.9 °
기습 폭우가 내린 지난 8일 서울 중구 청계천이 통제돼 있다. 뉴스1

기습 폭우가 내린 지난 8일 서울 중구 청계천이 통제돼 있다. 뉴스1


폭염이 전국을 휩쓸고 간 데 이어 남부지방을 시작으로 집중호우가 쏟아지면서 침수가 예상되는 지하차도와 반지하 거주 주민들에 대한 안전 우려가 커지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13일 밤새 부산 사상구엔 192.5㎜의 호우가 내렸고 경남·경북 일대 침수지 주민 250명 이상이 긴급 대피하는 등 적잖은 피해가 발생했다. 기상청은 비구름이 북상하면서 주중 중부지방을 중심으로도 150㎜ 이상 폭우가 예상된다고 한다. 어제는 2023년 30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오송참사' 2주기가 된 날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참사현장인 궁평2지하차도를 찾아 당국의 관리 부실로 인한 인명사고에 대해선 엄히 처벌한다고 재차 다짐했다. 지방과 중앙정부 할 것 없이 철저한 배수시설 점검으로 호우로 인한 저지대 침수 피해 가능성을 최소화해 이 같은 참사의 재발을 막아야 할 것이다.

정부는 오송참사 이후 침수 위험이 큰 지하차도에 홍수 상황 감시를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등을 구비하고 자동 진입차단시설을 확대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침수 이력 지하차도들 가운데 아직 인력 감시에 의존하는 곳이 적지 않으며, 자동 진입차단시설 또한 예산이 부족한 소규모 지자체일수록 설치가 되지 않은 곳이 많다. 정부는 이들 지자체에 재난 특별교부세 등을 긴급 지원해서라도 방비를 강화해야 한다.

서울에만 21만9,000여 가구가 살고 있는 반지하 주택의 호우 대비 또한 안심할 수 없는 수준이다. 지자체가 물막이판을 지원하고 있지만 지형적 한계와 동의 미비 등으로 30% 이상 반지하 주택이 침수에 무방비한 상태로 추정된다. 단기적 해결책이겠지만 반복 침수 주택의 위험요소 파악이라도 서둘러야 할 것이다. 다만 침수피해가 거듭될 때마다 제시되는 일회적인 보완책만으론 기후변화로 극심해질 자연재난에 맞설 수 없다. 근본적인 침수피해 방지를 위해선 대심도 빗물배수시설을 확충하고 이중 제방 등으로 하천 범람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사실상 정체 상태인 반지하 가구 주거 상향 사업에도 속도를 붙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