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추진에 앞서 지역 요구·현실 충분히 반영 주문
부산 쏠림·서부경남 소외 우려 해결 방안 모색 요구
17일 통영, 25일 창원서 토론회…인지도조사도 추진
부산 쏠림·서부경남 소외 우려 해결 방안 모색 요구
17일 통영, 25일 창원서 토론회…인지도조사도 추진
![]() |
[진주=뉴시스]11일 경남 진주시 경상국립대학교박물관 대강당에서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 주최 '행정통합 서부권 시·도민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사진=경남도 제공) 2025.07.11. photo@newsis.com |
[창원=뉴시스]홍정명 기자 = 경남 서부권 주민들은 11일 진주시 경상국립대학교박물관 대강당에서 열린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 주최 '경남 서부권 시도민 토론회'에서 행정통합 추진에 앞서 지역 요구와 현실을 충분히 반영해 달라고 요구했다.
토론회는 전호환 공동위원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차석호 진주시 부시장의 환영사, 유계현 경남도의회 부의장과 황진선 진주시의회 부의장의 축사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하민지 경남연구원 행정체제팀장이 '경남·부산 행정통합의 올바른 이해' 제목의 기조발제를 통해 행정통합의 개념과 배경, 기대효과 등을 발표했다.
지정토론은 좌장은 정원식 위원회 대변인(기획소통분과위원장)이 맡았다.
윤창술 경상국립대학교 교수는 '경남·부산 행정통합과 경남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행정통합이 서부경남 지역의 성장동력 확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안권욱 지방분권 경남연대 공동대표는 "통합자치단체는 기존 광역단체보다 더 큰 권한과 위상을 가져야 하며,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권한 이양이 핵심이다"고 강조했다.
유계현 도의회 부의장은 '행정통합과 서부경남의 미래'를 주제로, 통합이 지역 균형 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행정통합은 단순한 구조 개편이 아니라 지역 균형 발전 전략 일환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했다.
하혜수 경북대 행정학부 교수는 대구·경북 행정통합 사례를 통해 찬반 논리를 균형 있게 소개하며, "서부경남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세세하게 요구하고,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제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질의응답 시간에 한 진주시민은 "서부경남은 부산 빨대론에 대한 우려가 있다"면서 "앞으로도 지역의 고민을 좀 더 심도있게 이야기 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달라"고 주문했다.
산청군민은 행정통합에 있어 울산은 왜 제외되었는지를 묻고, 지리산권 북부지역 개발 등이 소외되지 않도록 균형 발전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하동군민은 "낙후된 서부경남 지역에 대한 배려를 담아 통합안을 만들어달라"고 주문했다.
이날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 공동위원장인 권순기 전 경상국립대 총장은 "언론에서 내년도 경남교육감 출마예상자로 거론됨에 따라 공동위원장 자격을 유지하는 것이 위원회 활동과 도정에 부담을 줄 우려가 높다"면서 공동위원장 사임 의사를 표했다.
한편, 공론화위원회는 오는 17일 통영 충무도서관, 25일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권역별 토론회를 이어갈 계획이다.
아울러 TV와 라디오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시도민과의 소통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후 시도민 인지도조사를 통해 행정통합에 대한 시도민 의견을 수렴한 뒤, 공론화 의견서를 작성해 양 시도지사에게 최종 전달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hjm@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