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손효숙 리박스쿨 대표(오른쪽)가 10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리박스쿨 청문회에서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수정 전 교육부 장관 정책자문관, 장신호 서울교대 총장, 손 대표.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
“나는 역사를 왜곡하지 않았다.”
극우 성향의 역사 교육 논란을 빚은 교육단체 리박스쿨을 이끄는 손효숙 대표는 국회 청문회에서도 반성이나 사과의 뜻을 내비치기보다는 본인만의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손 대표는 10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리박스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이 자리에서 손 대표는 ‘전두환씨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는가. 전두환씨의 명예는 회복돼야 하느냐’란 청문위원들의 질의에 “(전씨의 명예회복은) 이미 어려운 일이 됐다”며 “애국현장에서 보는 관점은 다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전두환씨의 국민 학살을 용인하는 게 애국이냐’란 질문에 대해서도 “대통령은 공과가 있다. 학살 여부도 제가 판단하기 어렵다”라고 그는 응수했다.
심신 미약론을 펴며 답변을 회피하기도 했다. 손 대표는 “(리박스쿨 관련 첫 언론 보도가 나온) 지난 5월31일 이후 마녀사냥을 당해서 심신 미약자가 됐다. (그래서 청문위원들이) 무슨 말씀을 하는지 잘 이해를 못하겠다. 아무것도 생각할 수 없는 상태로 지난 한 달을 보냈다”고 말했다. 그는 “내가 지혜롭지 못해서 잠입취재한 뉴스타파 여기자에게 당했다”라고도 말했다. 이는 ‘리박스쿨 사건’을 첫 보도한 탐사보도 매체 뉴스타파의 취재를 뜻한다. 이 매체는 리박스쿨이 대선 댓글 공작 참여자들에게 늘봄 강사로 활동할 수 있는 자격증을 발급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손 대표는 지난 2월 국회 교육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에게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반대하지 말라란 취지의 문자 메시지를 학부모인 것처럼 보냈다는 의혹에 대해선 사실이라고 시인했다.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 도입은 윤석열 정부 당시 교육부가 추진하던 사업이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한겨레 후원하기] 시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