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은 늘었고, 행사는 줄었다"
![]() |
지난 2월 7일부터 16일까지 10일간 태백산국립공원 당골광장에서 열린 제32회 태백산눈축제 눈조각 모습.(사진=뉴시스) *재판매 및 DB 금지 |
[태백=뉴시스]홍춘봉 기자 = 강원 태백시의 제32회 태백산 눈축제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지난 2월 종료된 눈축제를 두고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역사상 가장 무기력하고 무책임한 축제”라며 강도 높은 성명서를 발표하고, 태백문화재단의 예산 집행과 해명 태도를 문제 삼고 나섰다.
8일 태백시민행동은 성명서를 통해 “2025년 제32회 눈축제는 32년 전통의 몰락을 보여준 축제”라며 “눈도, 해명도, 책임도 없었다”고 성토했다.
시민행동은 무엇보다 예산 대비 행사 내용의 축소를 가장 큰 문제로 지적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제32회 눈축제의 공식 조각물은 전년도 35점에서 올해 11점으로 급감했으며 그마저도 모두 대학생 작품이었다.
시민조각, 전문가 조각 등 상징성과 다양성을 갖췄던 전통 콘텐츠는 사실상 사라졌다는 주장이다.
성명서는 “태백문화재단은 시민들이 눈으로 직접 체감한 ‘축소’에 대해 납득할 만한 설명을 전혀 내놓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눈은 없고, 해명은 더 없었다”고 비판했다.
성명서에서 가장 강하게 제기된 대목은 예산 정산의 투명성 부족이다. 특히 국제대학생 눈조각대회에 대한 과다 정산 의혹이 도마에 올랐다.
시민행동은 “3억원에 달하는 관련 예산의 세금계산서는 존재하지만, 실제 이체 내역이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고 밝히며 “이런 상태에서 어떻게 결산보고가 가능했는지 납득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몇 명이, 몇 시간, 어떤 기준으로 일했는지조차 드러나지 않는 인건비 집행은 계획 없는 즉흥성과 무책임의 극치”라고 날을 세웠다.
문화재단의 해명 태도에 대해서도 시민단체는 불신을 드러냈다. “답변 드린 바 있다”, “필요한 지출이었다”, “대행사가 부담했다”는 식의 응답은 사실상 책임 회피와 시민 기망에 불과하다는 것이 성명서의 핵심이다.
시민행동은 “문화재단은 공공기관으로서 최소한의 설명책임을 져야 함에도, 모든 문제를 ‘과거에 답한 적 있다’는 식으로 넘어가고 있다”며 “이런 태도가 시민 신뢰를 무너뜨리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시민행동은 이번 논란이 단순 해프닝이 아닌 공적 예산과 시민 신뢰의 문제라고 못 박으며, 시의회와 시정 당국에 강력한 후속 조치를 촉구했다.
위청준 위원장은 “이 축제가 도대체 누구를 위한 잔치였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제32회 눈축제 예산 및 사업의 전면 재정산 ▲태백시의회의 행정조사권 발동 ▲책임자에 대한 명확한 문책과 처벌 ▲문화재단의 전면 쇄신과 시민참여형 시스템 전환 등을 공식 요구했다.
이에 태백문화재단 관계자는 "태백시민행동의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태백산눈축제 관련한 답변을 했다"고 반박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asinohong@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