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파이낸셜뉴스 언론사 이미지

"해외 기술협업 할 수 있게 제도 정비를"… 현대차, 남양연구소 찾은 국정위에 제안

파이낸셜뉴스 권준호
원문보기

"해외 기술협업 할 수 있게 제도 정비를"… 현대차, 남양연구소 찾은 국정위에 제안

속보
김건희 특검, '양평 특혜' 관련 최은순· 김진우도 압수수색
1시간30분 이상 애로사항 공유
국정위 "자율주행 기술 확보 절실"


정태호 국정기획위원회 경제1분과장(왼쪽)이 2일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에서 전시물을 관람하고 있다. 국정기획위원회 제공

정태호 국정기획위원회 경제1분과장(왼쪽)이 2일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에서 전시물을 관람하고 있다. 국정기획위원회 제공


국정기획위원회가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를 전격 방문한 가운데 '독자적인 기술 개발에 한계가 있는 점'과 '우수 인력 유치가 어려운 점'이 주된 논의 대상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현대차에서는 송창현·양희원 현대차 연구개발(R&D) 사장, 성 김 사장이 직접 나와 이들과 접견, 1시간30분 이상 의견을 교환했다. 국정위는 현대차의 애로사항을 잘 챙겨 향후 국정과제 등에서 적극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다.

2일 국정위 고위 관계자는 파이낸셜뉴스에 "현대차가 가장 애로사항으로 꼽은 건 '독자적인 기술개발'이었다"며 "해외에 현대차 지사가 있는데, 현대차 기술이 국가 전략으로 돼 있어서 국외로 나가는 것에 제한이 있다고 하더라. 이 제한 때문에 독자적으로 기술을 개발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했다. 향후 해외 법인들과도 협업을 할 수 있게 제도적으로 정비를 해줬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했다.

다음으로 토로한 어려움은 인력 유치다. 이 관계자는 "(현대차가) 우수 인력을 유치하는 게 어렵다고 했다"며 "향후 국정과제 등을 점검하면서 정부가 취할 조치가 있는지 점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국정위는 연구소를 구석구석 둘러보며 인공지능(AI) 관련 자율주행에 대해서도 자세히 살펴봤다. 국정위 고위 관계자는 "현대차가 아주 준비를 철저하게 했다"며 "전시된 제품들을 보고 (기술) 시현도 하며 다양하게 둘러봤다. 보안시설도 일부 방문, 연구소 내부를 다양하게 봤다"고 했다.

다만 자율주행 관련 특구 확대나 지정 등 구체적인 논의는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관계자는 "자율주행 양산 단계에서는 공간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겠지만, 아직 자율주행이 (양산까지) 간 것은 아닌 만큼 (공간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지는 않았다"고 언급했다.

이날 현대차 남양연구소에는 정태호 국정위 경제1분과장을 비롯, 경제1·2분과 위원들이 참석한 것으로 파악됐다. 구체적으로는 경제2분과 이정헌 국토·SOC·지역 소위원장, 경제 2분과 윤준병 기획위원, 산업부 이승렬 산업정책실장, 국토부 엄정희 교통물류실장 등이다. 이춘석 경제2분과장은 함께하지 않았다.


이들이 남양연구소를 방문한 것은 자율주행 산업이 이재명 정부의 '진짜 성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첨단 산업이라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남양연구소는 자율주행, 로봇, 수소·에너지 분야 등 한국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R&D 핵심거점이기도 하다.

국정위는 이날 자료를 통해 "미국·중국뿐 아니라 전 세계 각국 정부와 혁신기업이 자율주행 기술선점을 위한 치열한 도전이 진행 중이다"며 "K-퀀텀점프(대도약) 프로젝트를 통한 자율주행 산업의 글로벌 기술 주도권 확보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정 분과장은 "이번 국정과제에 기업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 우리 기업이 글로벌 자율주행 기술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이날 자율주행을 비롯해 로보틱스와 수소·에너지 분야 기술현황과 향후 로드맵을 발표했다. 양 사장은 "자율주행 등 모빌리티 산업 미래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과감한 도전과 정부의 전략적 뒷받침이 긴밀하게 맞물려야 한다"고 전했다.

kjh0109@fnnews.com 권준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