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머니투데이 언론사 이미지

위기의 석유화학 살리려면 "산단별로 재편"…국회서 머리맞댄 민·관

머니투데이 김도균기자
원문보기

위기의 석유화학 살리려면 "산단별로 재편"…국회서 머리맞댄 민·관

속보
외교장관 "美국무와 첫 만남 건설적…한미정상회담 날짜 조율중"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 재편' 토론회./사진=김도균 기자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 재편' 토론회./사진=김도균 기자


공급 과잉으로 둔화한 석유화학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유사와 석유화학 기업을 연계하자는 제언이 나왔다. 석유화학 범용 설비를 통폐합하는 한편 그 원료 생산자인 정유사를 결합시켜 원가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산단(산업단지)별로 묶게 되면 이같은 수직적 결합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 재편' 토론회 참가자들은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위기가 장기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입을 모았다. 업황 둔화를 초래한 공급과잉이 지속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과거 국산 기초유분을 수입하다 자급 기조로 돌아선 중국은 2028년까지 총 4000만톤의 에틸렌 증설을 예고한 상태다. 원유를 넘어 석유화학 산업으로 진출한 중동 국가들도 대규모 증설 계획을 수립했다.

나성화 산업통상자원부 국장은 "과거 우리 석유화학 산업 성장의 저변이 됐던 중국은 더 이상 (우리 기업이) 수출로 풀어나갈 수 없을 정도로 자립화됐다"며 "중국 내 수요 둔화에 따라 일부 감산도 있지만 수요가 늘면 공급을 다시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해법으로 나프타를 생산하는 정유사와 범용 석유화학 생산 설비를 통합하는 안이 거론된다. 공급과잉을 줄이기 위해서는 범용 생산시설을 통폐합해야 하지만 동종 석유화학 기업 사이 수평적 통합은 또 다른 '석화 공룡'을 탄생시킨다는 우려에서다. 김지훈 보스턴컨설팅그룹(BCG) 대표파트너는 "원가경쟁력이 높은 피드(원료)를 확보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정유사들과 석유화학 기업이 연계돼있는 사업을 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김 대표는 또 산단별로 특성에 따른 맞춤형 구조조정 전략이 필요하다고 봤다. 먼저 울산 산단의 경우 프로필렌 공급 과잉이 우려된다는 진단이다. 현재 울산에는 프로필렌 생산설비인 PDH 4기가 있다. 이에 더해 내년 에쓰오일(S-OIL)의 '샤힌프로젝트'가 완공되면 프로필렌 공급과잉이 70만톤에 이를 전망이다. 여수의 경우 나프타분해설비(NCC) 7기가 있지만 정유사는 1개뿐이라는 점이 난제로 꼽힌다. 김 대표는 "1차적으로는 NCC 업체간 협업을 통해 최적화를 도모한 후 장기적인 시간이 걸리더라도 정유사와의 협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규제를 완화할지를 놓고서는 의견 차이가 존재했다. 구조조정이 현실화하면 범용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기로 한 기업은 독점적 지위를 가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공정거래법은 시장점유율 합계가 해당 분야 1위가 되는 등의 경우엔 기업결합을 막고 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해당 규제를 석유화학 산업 재편의 걸림돌로 인식한다. 김상민 LG화학 석유화학본부장은 "국내 업체 사이 공급 과잉 해소를 위해 일정 부분 노력을 했지만 현행법상 이를 구체화하기에는 담합의 이슈가 있다"며 "이런 법규의 개정이 이뤄진다면 빠르게 구조 개편 방안을 구체화하고자 한다"고 했다.


반면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공정거래법은 소비자 후생이라는 관점으로 전국민한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격 상승까지 고려해야 한다"며 "기업 결합 없이는 생산설비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경우를 상정하는 기업 결합(규제)의 예외가 이미 있다"고 밝혔다.

김도균 기자 dkkim@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