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헤럴드경제 언론사 이미지

두 남자와 외도한 아내 세 번째 상대 찾다 ‘들통’…“난 다자연애주의자”

헤럴드경제 한지숙
원문보기

두 남자와 외도한 아내 세 번째 상대 찾다 ‘들통’…“난 다자연애주의자”

속보
실적 미달에도 원전 업체 오클로 시간외서 1% 상승
YTN 라디오 ‘조인섭 변호사의 상담소’
남편 “아내가 폴리아모리, 이혼 되냐”
폴리아모리를 소재로 한 소설 ‘아내가 결혼했다’를 극화한 동명 영화 한 장면. [아내가 결혼했다]

폴리아모리를 소재로 한 소설 ‘아내가 결혼했다’를 극화한 동명 영화 한 장면. [아내가 결혼했다]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여러 사람을 동시에 사랑할 수 있다는 ‘폴리아모리(다자연애주의)’를 추구하는 아내와 이혼하고 싶은 한 남성의 고민 사연이 전해져 눈길을 끈다.

26일 YTN 라디오 ‘조인섭 변호사의 상담소’에서 사연남 A씨는 “아내가 저도 사랑하고, 우리 가족도 사랑하지만 그 사람들(외도한 남성)도 사랑한다고 한다. 어떻게 그런 사랑이 있을 수 있냐”며 폴리아모리가 이혼 사유가 될 수 있는 지 물었다.

폴리아모리는 ‘많다’는 뜻의 그리스어 ‘폴리(Poly)’와 ‘사랑’을 뜻하는 라틴어 ‘아모르(Amor)’를 합한 말로 여러 사람과 동시에 애정 관계를 맺는 걸 의미한다.

방송 내용에 따르면 A 씨 부부는 대학 선후배 사이로, 아내가 신입생일 때 처음 만나 연애 끝에 결혼했다.

A 씨는 “스무살 때부터 함께 한 사람이라서 저는 아내를 잘 안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다”고 운을 뗐다.

A 씨는 “하루는 딸과 아내의 휴대전화로 ‘티니핑’ 영상을 보고 있는데, 갑자기 알림창 하나가 떴다. ‘키 178㎝, 종로 거주, 기혼, 폴리아모리’. 뭐지 싶어서 눌러봤는데 믿고 싶지 않은 진실이 있었다”고 했다.


이어 “아내는 익명 트위터 계정으로 두 사람과 3년 넘게 관계를 이어왔고, 지금은 세 번째 상대를 찾는 중이었다”고 털어놨다.

A 씨가 아내에게 트위터 내용을 보여주며 추궁하자 아내는 처음에는 ‘사생활을 함부로 보면 형사고소 감’이라며 되레 화를 냈다가 결국 실토했다고 한다. 아내는 ‘난 폴리아모리다. 당신도 사랑하고, 우리 가족도 소중하지만 그 남자들도 사랑한다’고 주장했다.

A 씨는 “어떻게 그런 사랑이 있을 수 있냐? 이해할 수 없다. 지금 이혼을 고민하고 있다. 아이들이 걱정이지만 신뢰가 무너진 관계를 이어 나가는 게 더 고통스럽다”고 토로했다.


이에 정은영 법무법인 신세계로 변호사는 “폴리아모리는 모든 당사자가 그 사실을 알고 동의해야 한다. 그래서 흔히 말하는 불륜과 다르고 성적인 목적이 중심인 ‘스와핑’과도 다르다”며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관계를 공개적으로 밝히는 사람들, 관련 모임도 조금씩 생겨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폴리아모리가 이혼 사유가 될 수 있냐는 사연남의 질문에 “당연히 가능하다”며 “아내의 부정행위 자체가 명백해서 굳이 폴리아모리를 이유로 하는 이혼 청구라기 보다는 민법 제840조 제1호 부정행위를 이유로 하는 재판상 이혼청구를 하면 명백하다”고 답했다.

또 실제 관계를 맺지 않고 폴리아모리 사상만 갖고 있는 배우자와의 이혼 가능성 여부에 대해선 “민법 제840조 제6호 기타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있다. 통상적이지 않은 사상이나 신조를 가지고 있는 것은 제6호로 주장해 볼 수 있다”며 “그 사상으로 인해 부부관계의 신뢰가 상실돼 갈등이 극심하다면 이를 입증해 이혼을 청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육권 다툼과 관련해선 “폴리아모리로 인해 아내가 실제 다른 연인을 다수 만나왔다는 점을 입증하면서 추후 이혼 후에도 그러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설시해 남편은 양육권을 주장할 수 있다”고 했다.

A 씨가 아내의 트위터 알람을 본 것에 대해서는 “남편이 우연히 발견한 것이라 비밀번호를 푸는 행위를 하지 않았기에 형법상 비밀침해죄가 아닌 정보통신망법상 비밀침해죄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서로 항시 휴대전화를 자유롭게 공유하는 관계였기에 비밀 침해의 고의가 없었다고 주장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증거 수집을 위해 배우자의 휴대전화를 봤더라도 형사처벌 대상이다. 만약 아내의 화면에 뜬 알람들만 봤고, 직접 트위터에 들어가 과거 기록까지 열람하지 않았다면 고의도 없었고 정당행위였다고 주장해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