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전선에 비상이 걸렸다. 상반기에 부진한 모습을 보인 수출이 하반기엔 회복되리라던 전망이 힘을 잃었다. 대신 하반기에도 수출이 계속 부진할 것으로 전망이 수정되고 있을 뿐 아니라 내년 이후에도 상당기간 뚜렷한 수출 회복세를 보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내수 기반이 협소해 수출 아니면 먹고살 수 없는 나라에서 수출이 장기간 정체하면 국민의 삶은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그제 발표한 보고서 ‘2025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 및 하반기 전망’에서 수출이 상반기에 3329억달러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0.6% 감소하는 데 이어 하반기에 3355억달러로 지난해 하반기보다 3.8%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연간으로는 6685억달러로 지난해보다 2.2% 감소한다는 전망이다. 지난해 11월엔 올해 수출이 6970억달러로 지난해보다 1.8% 증가할 것으로 봤는데, 전망을 증가에서 감소로 뒤집은 것이다. 올해 연간 수출 전망을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가 2.2% 증가에 그치는 가운데 자동차는 4.6%, 철강은 6.0%, 석유화학은 7.6%나 각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같은 수출 전망 악화는 미국발 관세전쟁의 파장을 반영한 결과다. 미국의 관세전쟁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그만큼 더 큰 타격을 받고 있다. 갈수록 격화하는 중동 사태가 호르무즈 해협 봉쇄나 전면전 비화 등으로 극단화할 경우에는 전망이 훨씬 더 암울해질 수 있다. 하지만 더 근본적인 문제는 우리 수출산업의 경쟁력에 빨간불이 켜진 데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2015~2022년 7년간 규모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커지는 ‘글로벌 성장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이 21.7%에서 31.2%로 올라간 반면 한국 점유율은 5.6%에서 5.0%로 떨어졌다.
종합적인 수출 진흥 정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당장은 어제부터 미국 워싱턴DC에서 시동을 건 한미 관세협상에서 최소한 경쟁국들보다 불리하지 않은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 중동 위기의 모든 시나리오에 대비하는 데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아울러 인공지능(AI)을 비롯한 고부가가치·첨단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중장기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그제 발표한 보고서 ‘2025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 및 하반기 전망’에서 수출이 상반기에 3329억달러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0.6% 감소하는 데 이어 하반기에 3355억달러로 지난해 하반기보다 3.8%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연간으로는 6685억달러로 지난해보다 2.2% 감소한다는 전망이다. 지난해 11월엔 올해 수출이 6970억달러로 지난해보다 1.8% 증가할 것으로 봤는데, 전망을 증가에서 감소로 뒤집은 것이다. 올해 연간 수출 전망을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가 2.2% 증가에 그치는 가운데 자동차는 4.6%, 철강은 6.0%, 석유화학은 7.6%나 각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같은 수출 전망 악화는 미국발 관세전쟁의 파장을 반영한 결과다. 미국의 관세전쟁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그만큼 더 큰 타격을 받고 있다. 갈수록 격화하는 중동 사태가 호르무즈 해협 봉쇄나 전면전 비화 등으로 극단화할 경우에는 전망이 훨씬 더 암울해질 수 있다. 하지만 더 근본적인 문제는 우리 수출산업의 경쟁력에 빨간불이 켜진 데 있다. 한국금융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2015~2022년 7년간 규모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커지는 ‘글로벌 성장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이 21.7%에서 31.2%로 올라간 반면 한국 점유율은 5.6%에서 5.0%로 떨어졌다.
종합적인 수출 진흥 정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당장은 어제부터 미국 워싱턴DC에서 시동을 건 한미 관세협상에서 최소한 경쟁국들보다 불리하지 않은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 중동 위기의 모든 시나리오에 대비하는 데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아울러 인공지능(AI)을 비롯한 고부가가치·첨단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중장기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